정약용은 주로 어떤 작품들을 지었나요?
안녕하세요? 정약용은 학자이기 이전에 시인이었다고 하던데요~ 그러면 정약용이 시인일 때 주로 어떤 주제의 작품들을 지었나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주로 정약용은 한시를 창작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독소(혼자 웃다), 만춘(늦봄), 가난 등의 시를 통해 유배지에서의 깨달음, 유배지 주변의 백성들의 힘겨운 삶을 시로 많이 표현하엿습니다. '증문'(얄미운 모기)라는 시에서는 모기를 소재로 유배지에서 힘들고 어려운 삶을 표현하고 사실적이고 해학적인 표현을 드러내었습니다. 정약용은 한시들을 통해서 유배지 주변의 백성들을 안타까워 하는 마음과 유배지에서의 삶의 힘듦, 힘든 중에서도 연구하고 공부하는 삶에 대한 갈망 등을 드러내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전문가입니다.
정약용이 지은 시로는 혼자 웃다(獨笑) , 늦봄(晩春), 가난(歎貧) 등이 있습니다.
혼자 웃다(獨笑)
곡식 있어도 먹일 자식 없고
자식 많으면 주릴까 걱정
높은 벼슬아치는 영락없이 바보
영리한 자는 재능 써먹을 자리 없네
집집마다 복을 다 갖춘 경우 드물고
지극한 도는 늘 쇠퇴하기 마련
아비가 절약하면 자식은 방탕하고
아내가 지혜로우면 남편은 어리석으며
달이 차면 구름이 끼기 일쑤
꽃이 피면 바람이 망쳐 놓누나
세상만사 죄다 이러한 걸
혼자 웃는 이유를 남은 모르지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정약용은 유배지에서 시를 많이 지었다고 합니다.
출간된 서적이 있기에 가져와봤습니다.
1. 지녔던 포부를 애석해 하며 / 惜志賦
2. 귀양가는 장인 ‘홍화보’를 전송하며
3. 귀양가는 ‘이익운’을 전송하며
4. 관직에서 파면되어 / 罷官
5. ‘황덕정’이 은거하는 마을에서
6. 세찬 바람 / 苦風
7. 홀로 앉아 / 獨坐
8. 담배 / 煙
9. 번민을 달래며 / 遣悶
10. 우울증 / 愁
11. 흥을 풀어내며 / 遣興
12. 귀양살이의 여덟 가지 취미생활 / 遷居八趣
13. 장맛비에 한숨 지며 / 苦雨歎
14. 한탄스럽네 / 有歎
15. 칡을 캐네 / 采葛
16. 닭무덤 / 酉山
17. 동쪽 문 / 東門
18. ‘미원’에 사는 은둔자의 노래 / 薇源隱士歌
19. 맏형이 ‘두보’를 차운한 시에 삼가 화답하다 / 奉和伯氏次杜韻
20. 자식들에게 부치네 / 寄兒
21. 밤에 일어나 앉아 / 夜起
22. 홀로 서서 / 獨立
23. 저녁 무렵 맑음 / 晩晴
24. 다시 흐림 / 復陰
25. 흰머리 / 白髮
26. 가을밤에 홀로 앉아 / 秋夜獨坐
27. 가을날에 형을 그리며 / 秋日憶舍兄
28. 흰구름 / 白雲
29. 옥중에서 ‘소동파’의 ‘서대시’ 운율에 화답하다 / 獄中和東坡西臺詩韻
30. 야밤에 ‘동작나루’를 건너며 / 夜過銅雀渡
31. ‘율정’에서의 이별 / 栗亭別
32. 여행자의 회한을 기록하네 / 客中書懷
33. 새해에 집에서 온 편지를 받고서 / 新年得家書
34. ‘소동파’가 ‘자유’의 수척함에 대한 소문을 들었다네 / 和東坡聞子由瘦
35. 늦봄에 홀로 앉아서 / 晩春獨坐
36. 혼자 웃네 / 獨笑
37. 근심이 찾아 오네 / 憂來
38. 근심을 떠나 보내며 / 遣憂[출처 - 다산 정약용의 귀양살이 시문학, 유배 시집 / 정약용 지음 / 탁양현 옮김]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1762년 (영조 38)에 태어나 1836년 (헌종 2)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은 조선후기 『경세유표』, 『흠흠신서』, 『목민심서』 등을 저술한 유학자이자 실학자 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