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연말정산

용감한코끼리214
용감한코끼리214

소득금액증명에 나와 있는 근로소득 질문해요?

얼마전 신랑 소득금액증명을 뗄 일이 있었습니다.

2020년 근로소득 연말정산칸에 4200만원정도 적혀있었어요.

이게 작년 한 해 근로소득 맞나요?

저희 신랑 월급통장에 들어오던 건 매달 220~250만원 사이이였어요. 원래 이렇게 세금을 많이 떼나요?

아니면 신랑이 비상금 만들고 거짓말을 한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손승현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근로소득자의 소득금액증명원에는 총급여액이 표시됩니다.

      표시된 총급여액은 세전금액입니다. 즉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 공제하기 전 금액으로

      실제 통장에 입금된 금액보다 큰게 정상입니다.

      그런데 매달 250만원씩 12개월이면 3천만원인데, 4200만원과는 차이가 조금 크네요

      매월 정확한 급여를 아시려면 매월 급여명세서를 보시면 알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마승우 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세전 급여에서 소득세 등을 차감하고, 4대보험료까지 차감하게 됩니다. 그리고 회사의 각종 경조사금 등을 차감 후 최종 실수령액을 받게 됩니다. 당연히 세전 급여와 실수령급여에는 차이가 발생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근로소득만으로 매달 입금되는 실수령액을 유추해낼 수는 없습니다. 근로소득은 연간 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제외한 금액이 나오는 것이고, 월정급여액은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뿐만 아니라 각종 4대보험료도 차감된 금액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정동호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득금액증명원은 근로소득 총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차감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연도는 옆의 귀속연도를 참고하면 되며, 세금은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상에서 정확히 확인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략적으로 큰 차이는 없어보입니다.

      총급여는 일반적인 급여 뿐만 아니라, 현물 등도 포함이 됩니다. 또한, 해당 급여 수준이라면 월 250만원 내외로 찍히는 것도 맞습니다. 의심하지 않으셔도 될 것으로 보이며 회사에서 급여를 지급할 때 쪼개서 주지도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