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페트병을 물속 10m로 가지고 내려가면 구겨지는데 원인이 무엇인가요?
물을 다먹고 난 빈 페트병을 물속 10m로 아래로 가지고 내려가면 구겨졌다가, 다시 올라오면 펴지는걸 볼 수 있는데
어떤한 성질때문에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준성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압은 평균적으로 수심 10m당 1kg씩 증가 합니다.
물 밖에서는 페트병 내부와 외부가 대기압으로 같습니다.
다음과 같이 비교적 쉽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0. 대기압을 0으로 가정합니다.
1. 물 밖인 경우, 내부압력(0) = 외부압력(0)
2. 수심 10m인 경우, 내부압력(0) < 외부압력(0+1) : 여기서 1은 수압 입니다.
3. 수심 100m인 경우, 내부압력(0) < 외부압력(0+10) : 여기서 10은 수압 입니다.
결국, 수심이 증가함에 따라, 수압이 증가하면서 내부와 외부의 균형이 깨져서 페트병이 찌그러집니다.
같은 원리로 하늘로 올라갈수록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높아져서 부풀어오르다가 터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심이 깊어질수록 수압이 작용하기때문에
페트병이 구겨지게 됩니다
수압은 수심 10m당 1기압씩 작용합니다
물 속으로 내려간다는 것은 수압이 증가한다는 뜻이 됩니다.
수압이 증가하므로 페트병에 힘이 가해져서 페트병은 구겨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밑으로 내려갈수록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페티병이 쪼그라드는 현상이 생기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압에 의해 작용입니다.
수심 10m당 1기압이 증가하게 됩니다. 즉 수심 10m에 작용되는 압력은 2기압으로 물밖에서 보다 2배의 힘을 받습니다.
즉 패트병은 모든 방향에서 물밖에서 보다 2배로 눌리눈 상황이어서 찌그러지게 되고 물위 올라오면 수압이 줄어들어 다시 펴지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외부의 압력이 높아져 찌그러지는 것입니다.
외부의 압력과 내부의 압력은 같아 질려고 하기 때문에
외부의 압력이 높고 패트병 내부의 낮은 압력을 높이려고 부피가 줄어드는 거죠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내부와 외부 압력 차이 때문입니다. 물 속으로 들어가면 수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패트병이 구겨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