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파라오
파라오23.03.20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 때문에...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 때문에 알바든 일자리든 쉽게 구하면서 우리나라는 그러지 못한 이유가 뭔가요?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 때문에 알바 일자리도 얻으면서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저출산 고령화가 지속되었는데

일자리 알바는 얻기가 매우 힘들어요

왜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대한 지원이나

    복지 정책이 부실하구요. 나라의 특성도 어느정도 반영되는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보다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행되었고 고령화도 상대적으로 최근에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단, 우리나라의 경우도 출산율 부족으로 노동력이 부족해지고 있기때문에 노인 일자리에 대한 수요도 점차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한국의 경제구조와 노동시장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이에 대한 몇 가지 이유들입니다.

    1. 경제구조의 차이: 일본은 제조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조업에서는 비정규직의 비중이 낮고, 대체로 높은 기술을 요구하는 일자리가 많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비스업에서는 비정규직의 비중이 높고, 낮은 기술을 요구하는 일자리가 많습니다.

    2. 노동법규의 차이: 일본에서는 비정규직에 대한 법적 보호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이에 따라 비정규직의 권리가 보호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비정규직에 대한 법적 보호가 상대적으로 낮고, 비정규직의 권리가 제한됩니다.

    3. 문화적 차이: 일본에서는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이에 따라 일자리를 잃는 것이 큰 부끄러움으로 여겨지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지위가 낮고, 일자리를 잃는 것이 큰 부끄러움으로 여겨지지 않습니다.

    4. 교육체제의 차이: 일본에서는 이미 중고등학교에서 직업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중고등학교 졸업 후 직업교육을 받거나 기업에서 직접 교육을 받아 일자리를 얻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에 한국에서는 대학교육이 중시되고, 대학교 졸업 후 일자리를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이 일본과 한국의 일자리 시장에서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일본에 취재간 다큐멘터리를 본 게 있는데요

    일할 인구가 적이지니 대기업에서 서로 데려갈려고 하지않을까

    했던 예상이랑 실상이 달랐습니다

    제가 본 것을 다 믿지는 않지만 내용을 보면

    노인들은 연금을 18만엔을 받는 데요 청년 한 달 월급이라고 합니다

    노인들의 평균 재산이 300만엔 이라고 합니다

    노인들은 젊은 세대에 비해 소비가 적습니다 재산에 대부분이 부동산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경제활동이 적기 때문에 적게 소비한다죠

    젊은 세대는 집구매 결혼 연애 심지어 운전면허조차 따지않는다고 합니다

    차를 사는 것도 사치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죠 이게 득도세대 사토리세대입니다

    또한 인터뷰에 응한 30대 남성은 6평쯤 되는 방에

    2층침대를 2개놓고 4명이서 한 방에서 거주를 합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정규직이되겠다 라던가

    돈을 많이 벌어서 차를 사고 집을사서 결혼을 하겠다던가 하는 꿈이 없기 때문에

    예를 들어 내수가 돌지않습니다 차를 사지않습니다

    그러니 수출에 의존해야하고요 (한국도 기아현대차가 많이 팔리죠 국내에서)

    그러니 기업입장에서는 인재 고용도 계약직 임시직을 주로 뽑는다고 합니다

    위 드라마인 경우도 특별편에 보면 슬기로운 결혼생활에 대해 나오는데요

    주인공은 파견직입니다 한국말로 외주업체, 용역소속.

    남녀가 생활패턴이 다름을 주제로 서로 이해해가면 결혼도 할만하다 라던가

    지금 제목은 생각나지않지만 , 역시 여자는 능력있는 남자만나서 결혼하고 아이를 낳아

    길러야 한다는 주제로 하는 직장여성의 이야기 라던가

    수년전부터 이어지는 일본의 현상입니다

    편의점을 예를 들어서도 장사도 안되는 데 알바를 고용하려고 안하죠

    알바비가 곧 흑자니까요

    장사가 잘되고 사업을 늘려나갈수 있을때 고용을 합니다

    그러니 3시간 4시간짜리 파트타임만 고용하겟죠

    일본은 또한 고령화로 인해 노후준비를 못한 노인세대의 재 취업도 알선하고 있고요

    역시나 지방도시는 망해가고 도심주변만 일자리가 있는것입니다

    한국도 세종특별시 처럼 계속해서 지방성장계획을 갖지 못한다면

    일본과 같이 집값은 비싸고 일자리는 구하기 힘든게 이어질거같습니다

    지방도시를 개발하고 인프라, 직장이 있어야 서울수도권으로 몰린 일자리 라던가

    집값이라던가 경쟁이 줄어들것입니다

    나중에는 돌아가려고 해도 지방자치단체가 폐쇄나 통합되고 세수가 없어

    수도 전기도 끊길거라 봅니다

    한국처럼 일본도 재벌 대기업들만 잘먹고 잘삽니다 소수의 인구들이 또 나라의 세금을 내고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도 일본처럼 저출산에 시달리고 있으나 일본만큼 일자리가 많지는 않습니다. 경제 성장이 주춤하고 구조조적인 산업 재편으로 점점 기존 일자리들이 줄어드는 탓도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고령화와 저출산은 선진국들 중에도 이례적이라 한국도 조만간 인력 부족에 시달릴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한국의 문화 및 이에 따른 정책이 달라서 그렇습니다.우선 아르바이트 자리의 문제는 '외국인'노동자의 유무차이가 크고요. 그리고 한국은 이마저 자동화(키오스크)하고 있는데 일본은 아직도 현금결재의 비중이 압도적인 나라입니다. 인력이 필요한 나라인거죠.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일본은 우리나라 보다 10년 정도 빠르게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기 때문에 지금의 청년층이 부족하고 따라서

      일자리도 더 여유롭게 확보 되어있습니다.

    • 반면에 우리나라는 이제 출산율 절벽으로 들어갔고 일본보다 속도는 빠르지만 일본처러 되려면 약 5~8년은 있어야 합니다.

    • 그렇게 되면 신입사원 수가 급격히 줄어 들어 구직자를 찾기 힘든 구인난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