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22

집중해야 할 때 화장실로 도피하는 아이,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숙제나 학교에서 수업 듣기 등 자기 기준으로 집중을 요하고 힘든 일이 있을 때 아이가 자꾸 화장실을 가려고 합니다.(신체는 건강하고 관련해서 아무 문제 없습니다.) 실제로 가고 싶다기 보다 시간을 떼우려는 용도로 가요. 그래서 물어보며 정말로 가고 싶은 거라며 변명하고요. 이런 아이를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집중을 요하는 시간에 화장실로 시간을 떼우러 가서 걱정이 되겠습니다.

    우선 아이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집중을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보기 전에 아이의 생활패턴을 체크해야 합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를 통해 주의집중시간을 늘려주세요. 아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놀이에는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합니다.

    선택권과 책임을 아이에게 부여해주세요.

    아이와의 사소한 약속이라고 할지라도 잘 지켜주세요.

    가족 모두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집안 환경을 차분한 느낌으로 정돈해주세요.(아이가 공부할 때 TV보지 않기)

    건강한 신체리듬을 만들어주세요.(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

    꾸준히 독서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 또한 아이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 황석제 보육교사blue-check
    황석제 보육교사24.01.24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는회피성향입니다

    상황에대해직면하고명료화과정을거치면좋아질겁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특정 상황에서 화장실 등의 특정공간으로 이동하려는 것은

    불안감을 해소하려는 자신만의 방법이라고 합니다. 이때 아이에게 같은 공간에

    가지 못하도록 훈육하는 것보다 어느정도 아이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시는 것이

    필요하며 천천히 대화로써 접근하시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화장실이 편안한 장소이기 때문에 화장실로 도피하는 경우라면, 아이가 화장실을 이용하지 않고도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세요. 아이가 집중할 수 있는 책상이나 의자를 마련하거나, 아이가 좋아하는 음악을 틀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학습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없기 때문에 도피를 하고자 하는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유일한 탈출구는 화장실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화장실로 도피는 하는 것이지요.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에게 공부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도해 주는 것입니다.

    학습을 지루하게 하긴 보다는 놀이와 게임 형식으로 진행해 보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적절한 규칙을 알려주시는것이 좋으며

    시간에 맞추어 화장실을 가거나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허나 이러한것으로 지속적으로 면학분위기 조성이 어렵다면 부모와 상담을 해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표현을 하도록 하기 바랍니다

    힘들면 화장실로 회피를 하기 보다는 지금 이 순간이 힘들다 라고 옆에 있는 부모나, 선생님, 친구들에게 힘들다라는 표현을 올바르게 할 수 있도록 하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학교 선생님도 아이의 성향을 잘 파악했기 때문에 일부러 간다고 하면 안 보내지 않을까요?

    가정에서도 아이를 관심있게 살펴보면 정말 필요할 때 화장실에 갈 수 있도록 지도를 하는 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힘들거나 집중이 힘들 때 자주 화장실을 가는 행동은 스트레스, 불안, 혹은 피해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어요. 아이가 힘들 때 다른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법을 알려주는게 도움이 됩니다. 깊이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거나 집중을 돕는 간단한 명상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