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비범한나무늘보
비범한나무늘보22.12.15

술을 마시면 얼굴이 빨갛게 되는 이유가 있나요?

나이
33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일단 제 얘기는 아닙니다.

제 친구중에 술을 잘 못마시는 얘가 있는데요

정말 알코올이 조금만 몸에 들어가도 얼굴이 빨갛게 변합니다.

이처럼 술을 마시면 얼굴 색이 확 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전문가님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알코올이 몸에 들어오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변합니다.

    이 알데하이드가 우리 몸에 해로운 독소로 간에 분해효소가 있는 경우에는 대사를 하는데 효소가 없는 경우에는 이걸 배출하기 위해서 혈관이 확장되게 됩니다.

    그래서 얼굴 또는 온몸이 빨갛게 변하게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5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술(알코올)의 작용에 대해서 궁금하시군요.

    술에 포함된 알코올은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는 반응을 일으키며 간에서 대사가 되게 됩니다.

    피부에 있는 말초혈관이 확장되면 피부가 빨갛게 보이게 됩니다. 우리가 운동을 많이 하면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르죠? 운동을 하면 말초혈관이 확장되기 때문입니다. 같은 원리입니다.

    사람에 따라서 알콜에 대한 반응이 다르고 대사 능력이 다릅니다. 때문에 어떤 사람은 빨리 붉어지고 빨리 취하는 반면 술에 강한 사람도 있는 것입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몸이 술에 맞지 않는다면 술을 많이 안 마시는게 건강에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나요?

    도움이 된 답변에 좋아요와 추천버튼을 눌러주시면 더 좋은 아하 답변들이 순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알콜 섭취 후 얼굴이 붉어지는 증상은 얼굴로 흐르는 혈액이 증가하면서 일시적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아세트알데하이드란 숙취 물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알콜을 섭취하면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분해되고 ALDH라는 효소가 작용해 초산으로 대사가 됩니다. ALDH2 유전자를 가진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할수 없어서 체내에 축적되면서 얼굴이 붉어지고 구역, 구토, 두통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안전하며 술을 마시는 경우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호 의사입니다.

    술의 알코올(에탄올)은 체내에 들어가 간에서 대사가 됩니다. 이 과정에서 에탄올은 아세트알데히드라는 중간 대사물을 거쳐 아세트산으로 분해됩니다.

    중간 대사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독성이 강한 물질로 인체에 무해한 아세트산으로 분해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때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일부 효소 (ALDH라고 부릅니다)가 결핍되거나 부족할 경우에 체내에 아세트알데히드가 축적되는데 이 결과로 얼굴이나 몸이 붉어지게 됩니다. 즉,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얼굴이 붉어지지 않는 사람에 비하여 알코올에 더 취약하며 같은 양의 음주를 하더라도 더 큰 위험성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음주 후 얼굴이 붉어지신다면 인체의 위해가 다른 분에 비해 크게 나타나므로 가급적 절주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술을 마시면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가 알코올을 분해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효소가 부족한 분들은 얼굴이 쉽게 붉게 됩니다. 알코올에 의한 영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