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느리지만 행복하고 싶은 달팽이

거짓말을 자꾸 하는 아이 어떻게 교육을 해야될까요?

지금 둘쨰 남자 아이가 6세인데 사소한 거짓말을 계속 합니다.

거짓말은 하면 안 된다고 잘 타일러도 계속 하는데요;;

심하게 한 번 혼을 내야될까요? 어떻게 교육을 해야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습관적으로 하려고 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6세 같은 경우라면 꿈과 현실, 시공간을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때로는 거짓말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아주 단순하게도 야단맞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했을때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나 말을 관찰한 사실대로 이야기하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하고 '다음부터는 잘못하거나 실수를 해도 사실대로 말해줬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며 마무리합니다. 대신 화난 어투가 아닌 차분하게 이야기하는게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나이가 들면 들수록 자기가 하고 싶은것을 하게 되고, 또한 그것을 이루기 위해서 떼를 쓰기도 하고 거짓말을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부모님께 혼나지 않기 위해서도 꾀가 생겨서 거짓말을 하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이는 부모님눈에 잘 보인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의 거짓말을 캐치 하셨을때는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를 분석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다짜고짜 혼내시는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6세 아이가 사소한 거짓말을 할 경우 거짓말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설명해 주세요. 아이가 거짓말의 부정적인 영향을 이해하도록 해야 합니다. 아이가 진실을 말했을 때는 그 행동을 칭찬하고 보상하여 솔직함의 가치를 알게 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아이를 심하게 혼내기보다는 차분하게 이야기하고 왜 거짓말을 했는지 물어보세요. 아이가 왜 거짓말을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거짓말을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거짓말을 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거짓말을 하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정확하게 알려주도록 하세요.

    더나아가 동화 피노키오와 양치기소년을 함께 읽어보면서 왜 거짓말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또 거짓말은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라는 것도 인지시켜 주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사소한 거짓말일지라도 거짓말은 나쁜행동임을 알려주시고 지속적으로 주의를 주셔야합니다

    건성으로 듣거나 교육의 효과가 없을시에는

    아이의 손을잡고 낮은목소리로 단호하게 말해주세요

    소리를 크게 내거나 화를 내실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거짓말을 하는것은 신뢰를 깰수도 있는 사항이기에 확실히 고쳐야 합니다. 한두번 단호하게 이야기를 해보고 해결이 되지 않으면 강하게 훈육하는 것도 필요할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6세 아이가 자꾸 거짓말을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의 일부분일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가 왜 거짓말을 하는지 이해하려 노력하세요. 아이들은 종종 주목을 받거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 거짓말을 합니다.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여 아이가 거짓말을 할 필요가 없도록 만드세요. 아이가 솔직하게 말했을 때 칭찬하고 보상해 주세요.

    부모가 솔직하게 행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와 대화를 통해 거짓말의 결과와 진실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 심하게 혼내기보다는, 아이가 솔직함을 통해 얻는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거짓말을 하고 있는 아이에게 심하게 화를 내시거나 소리를 지르시며 윽박지르시면 오히려 역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거짓말을 한 아이는 분명 그 이유가 있기 때문에 일단 아이의 감정을 달래주시고 공감해주신 다음에 아이와 함께 왜 거짓말을 했는지에 대해서 대화를 진행해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거짓말을 하는게 아니라 그 거짓말 대신에 할 수 있는 바람직한 대체 행동이 무엇이 있는지 알려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지금까지 좋게 타일렀는데도 행동변화가 없다면 한번쯤 크게 혼을 내는것도 좋을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