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23.05.27

명왕성이 행성이 아니라면 별이라고 부르나요?

명왕성이 예전엔 태양계였는데 이제 태양계에서 제외됐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명왕성은 뭐라고 부르나요? 그냥 별이라고 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은 스스로 연료를 소모하며 빛과 열을 내는 천체를 말합니다.

    명왕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므로 별은 아니고, 이미 행성의 지위도 없으므로,

    단순 소행성정도로 불리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과학분야 답변자 배병제입니다.


    명왕성은 더 이상 행성이 아닙니다. 별은 항성(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을 뜻하므로 별도 아닙니다. 명왕성은 왜소 행성이라 분류됩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행성이 아닙니다

    기존엔 행성이엇으나 퇴출 되어 지금은 왜행성이라도 합니다

    행성의 개념이 바뀌어 퇴출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평균 기온이 -248℃ 정도입니다. 산소와 메탄가스가 고체로 있어 인간이 자원을 획득하는 데 가장 좋은 태양계 천체로 알려져 있지만 지구와의 거리가 매우 멀고 기온이 낮기 때문에 인간이 살 수는 없습니다. 명왕성이 최초에 발견된 1930년대에는 지구 정도의 크기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달보다도 작아 지름은 지구의 0.18배이며, 부피는 0.0066배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중력은 지구의 약 6~7% 정도이므로 지구에서 몸무게가 60kg인 사람은 명왕성에서 약 4kg이 됩니다. 명왕성의 주변을 도는 위성은 5개가 있습니다.

    이처럼 명왕성의 질량과 중력은 행성이라 보기엔 너무 작고 공전 궤도 또한 심한 타원형으로 찌그러져 있어 해왕성의 궤도 안쪽까지 침범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 과학자는 명왕성이 처음에 해왕성 주위를 돌던 위성이었는데 어떤 힘에 의해 해왕성을 벗어나 행성이 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2005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마이크 브라운 교수가 명왕성보다 큰 천체 UB313(에리스)을 발견하면서 명왕성의 태양계 행성 자격 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만약 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계속 유지한다면 에리스도 열 번째 행성으로 지명되어야 하고 앞으로도 계속 행성이 추가될 가능성이 생긴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태양계 행성의 자격을 “태양의 주위를 돌아야 하고, 충분한 질량을 가져 자체 중력으로 타원이 아닌 구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천체이어야 한다.”고 새로 규정했습니다. 이 기준에 따라 2006년 8월 24일, 명왕성은 태양 주위를 돌고 구형인 천체지만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천체여서 결국 우리 태양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일단 명왕성의 공전 궤도가 크게 찌그러져 있어 해왕성의 공전 궤도를 침범합니다. 해왕성은 명왕성을 무시할만한 크기와 질량을 갖추고 있지만, 명왕성은 해왕성을 무시할 수가 없기에 명왕성은 행성의 기준을 만족시킬 수가 없었습니다.

    또한 에리스와 명왕성은 행성이 되기에는 크기가 너무 작았습니다. 이에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와 명왕성을 ‘왜소행성’이라는 특별한 범주로 묶기로 최종 결정했고, 최근에 ‘플루토이드’라는 새로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출처 : 대한민국 교육부 - 명왕성이 행성계에서 퇴출된 이유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명왕성은 왜소행성으로 분류됩니다.

    별은 항성을 뜻하는데 스스로 빛은 내는 천체, 즉 태양계에서는 태양과 같은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그 항성을 특정 규칙에 따라 공전하는 천체를 행성이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영어로 Pluto라고 부르며,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저승신의 이름을 딴 것이다. 원래는 태양계의 9번째 행성이었으나, 2006년 행성에서 제외되고 왜소 행성으로 분류되었읍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카이퍼 띠에 있는 왜소행성 가운데 하나. 1930년 발견 이후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서 명왕성(冥王星)으로 불렸으나,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의 행성분류법이 바뀜에 따라 행성의 지위를 잃고 왜소행성(dwarf planet)으로 분류되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명왕성은 "왜행성 천체(dwarf planet)"라고 분류되고 있습니다. 이는 규모와 특성에서 일반적인 행성과 차이가 있지만, 아직은 태양계의 일부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7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카이퍼대(Kuiper belt)에 있는 왜소행성 가운데 하나입니다. 행성이 아니아 왜소행성이라고 부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