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진기한수염고래43
진기한수염고래43
23.04.28

CFD 차액 결제 거래 무엇인가요

경제뉴스 인터넷 기사에 증권사CFD 거래가 어떤용어 인가요? 이것때문에 증권사 신규가입도 안되는건가요? 무엇때문인지 간단하게-설명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
    23.04.28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FD라는 것은 차액결제거래른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식의 현물을 보유하지 않고 진입가격과 청산 가격의 차액만을 결제하는 장외파생계약을 의미하는 매매거래방법입니다. 이는 증권사가 대출을 해주고 이에 따른 매매 수익은 투자자가 가져가는 구조로서, 이러한 CFD를 활용하게 되면 종목에 따라 레버리지 배율의 차등에 따라서 더 높은 수익을 얻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며, 하락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공매도를 하는것이 가능합니다.

    CFD를 활용하여 거래를 하게 되면 10%~40%의 증거금(투자금)만으로 높은 레버리지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익성을 극대화시키는 반면에 주식의 변동성이 심화되는 경우에는 그만큼 리스크가 커지게 되는데, 심각한 경우에는 반대매매가 발생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FD는 Contract for Difference의 약자로 차액결제거래를 의미합니다. 실제 기초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가격변동을 이용한 차익을 목적으로 매매하며, 진입가격과 청산가격의 차액을 당일 현금 정산하는 파생상품 거래입니다.

    CFD 거래는 레버리지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손실에 대한 리스크가 매우 높은 거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FD는 파생금융상품 중 한 종류로서, 주식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진입가격과 청산가격간의 차액만 수취하는 상품입니다. 통상 증거금률 40%로서 본인투자금의 2.5배까지 뻥튀기 레버리지 거래가 가능한 고위험 상품으로 본인이 설정한 가격흐름과 동일한 경우 많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나, 그 반대인 경우 증권사가 주식을 강제청산하는 반대매매를 당할 수 있어 투자에 주의하셔야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적은 증거금으로 약 2.5배의 레버리지 거래를 할 수 있는 차액결제거래로 1,000만 원 어치 주식을 400만 원의 증거금으로 살 수 있어 일반적으로 주식이 40% 이상 떨어지게 되면 내 돈은 다 날아가고, 그 이상(원금 이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거래 기법을 뜻합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CFD 란 차액결제거래로

    실제로는 투자 상품을 보유하지 않으면서

    차후 가격 변동에 따른 차익만 정산하는 장외파생상품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