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검소한오징어74
검소한오징어7424.03.12

대항해시대에 서양에서 일본을 황금의 나라라고 부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유럽에서 대항해시대를 개척하며 전세계를 누비고 있던 시기에 일본을 황금의 나라라고 일컬었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그렇게 불리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9세기 이후 수백 명 규모로 파견되기 시작한 견당사(遣唐使)들에게 1인당 수 킬로그램(kg)씩 사금으로 제조한 황금이 지급되었다. 이들이 중국에서 이 황금을 경비로 사용함에 따라 중국인들에게 일본은 ‘황금의 나라’로 알려지게 된다.


    일본인들은 대체 포르투갈 등 서양인과의 교역에서 총포 등을 수입하는 대신 무엇을 팔았을까요? 그 답은 바로 '귀금속'에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까지 금광과 은광이 크게 개발되었다가 17세기 중엽부터 쇠퇴했고, 그 대신 구리 생산이 증가했다. 광산 개발은 처음에는 다이묘들의 전쟁 준비를 위한 수입과 관련이 잇었으나, 곧 군사문제보다는 상품 유통용으로 더 큰 중요성을 띠게 되었다. 특히 중국 비단을 수입하는 데에 필요한 결제 수단으로 은이 많이 사용되었다. 16~17세기 일본은 '지팡그'라는 동방견문록의 지명 그대로 은과 금의 생산이 굉장히 많았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렇게 귀금속이 많이 생산되면 당연히 화폐경제의 출현도 쉽고 더 나아가 교역을 통해 귀한 제품(비단과 총포 등)을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죠.


    그럼 일본의 은 수출 규모는 대체 얼마나 되었을까요? 이에 대해 "대항해시대"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책 267 페이지 부분).


    이에 대해 정확한 통계를 제시하기는 힘들지만 인상적인 숫자들은 눈에 띈다. 예컨대 16세기 말 효고현에 있는 이쿠노 은광에서 히데요시에게 보낸 은의 양이 1만 킬로그램이라던가, 니카타 현에 있는 사도 광산의 연 생산량이 6~9만 킬로그램 사이로 추정된다는 주장을 들수 있다.


    이런 자료를 통해 코바타는 17세기 초 일본의 은 수출이 연 20만 킬로그램에 달했다는 추정치를 제시했다. 만일 이런 정도의 은 수출이 실제로 한 세기 지속되었다면 이는 상당히 중요한 경제적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정확한 숫자는 부족하지만, 일반적으로 근대 초 일본은 멕시코에 이어 세계 2위의 은 수출국으로 자리 매김된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항해시대에 서양에서 일본을 황금의 나라라고 부른 이유는 일본이 금 생산량이 많은 국가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