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반반한물범1
반반한물범1

한글이라는 이름은 언제 부터 쓰게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그러고 보니 오늘이 한글날이네요.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이라는 단어를 언제 부터 쓰게되었는지요.

훈민정음이라고

읽던 옛 이름이 아닌

한글이라고 명명하게 된 이유와

어느 분께서

처음 사용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간여행자75
      시간여행자75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글을 만들 당시에는 ‘훈민정음’이라 불렀습니다.

      ‘언문’이라는 이름은 최근까지 쓰였습니다. ≪세종실록≫에는 언문청이라는 말이 나오고, 또 바로 ‘언문’이라는 말도 나타납니다. 이후에 ‘언서’라고도 하였는데, 이것은 한문을 ‘진서’라 한 데 대립시킨 말로 한문에 비해 낮춰 부른 말이 아닌가 합니다.

      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는 ‘반절’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고, ‘암클’이라는 이름도 쓰였는데, 이는 부녀자들이나 쓰는 글이라는 뜻으로 선비가 쓸 만한 글은 되지 못한다는 한글을 폄하하는 뜻이 함축되어 있었다 합니다.

      1908년 주시경을 중심으로 ‘국어연구학회’가 만들어졌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배달말글몯음’으로 이름을 고친 후, 1913년 4월에는 다시 그 이름을 ‘한글모’로 고쳤다고 합니다.

      이 때부터 ‘한글’이라는 이름이 쓰이기 시작한 듯하나, 제대로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27년 한글사에서 ≪한글≫이라는 잡지를 발행하면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적으로 보았을때 훈민정음을 반포할 당시에는 '언문'이라고 불렸던 것으로 보이며, 구한 말에는 이를 '국문'이라고 부르다가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한글'이라는 이름이 등장했다고 합니다.

      그 시초는 약간 견해의 차이가 있는데, 현재 쓰이는 '한글'이라는 이름은 창시자가 불분명하지만 대체로 주시경이 약 1912년 경에 저술한 《소리갈》(음성학)이라는 책에서 처음 쓴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