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면역에 대해 궁금합니다...........
인구의 60%정도가 감염되면 집단면역이 형성 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 의미는 그정도되면 확진자가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는 의미로 종식을 의미하는 것인지 아니면 확진자가 나오기는 하되 그 수가 적어지는 것 인지 궁금합니다.
또 후자가 맞다면 집단면역 상태에서도 적은확율이나마 밀접접촉 및 확진이 가능한 것 인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확진자는 나오지만 그 수가 적어지는것입니다.
왜냐면 더이상 전염시킬 숙주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비감염자는 다른 확진자들에 의해 감염될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코로나 바이러스의 집단면역은 현재 최소 80%가 넘는 시점에서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백신을 맞아도 항체가 생기지 않는 경우가 있고, 또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이 수치가 정확하지 않습니다. 확실한 것은 백신을 맞고 한번정도 감염 후 완치되어야 어느정도 코로나에 안심이 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집단면역이 형성되더라도 코로나 19 바이러스 자체가 소멸하는 것이 아니므로, 밀접접촉을 할 확률이 줄어든 것이지 감염되는 사건 자체가 없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1. 집단면역이 형성되었다는 것은 확진자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나올 수는 있되 그 기수가 적어 충분히 통제 가능한 수준의 유행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집단면역이 있는 상태에서도 충분히 밀접접촉 및 확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기본적으로 집단면역이 생성이 되면 코로나 자체가 전파되는 속도가 확연히 줄어들면서 코로나가 종식에 가까워 진다는 것입니다.
집단면역이 생긴다고 하여 확진자와 접촉시 코로나에 감염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접촉시에는 감염될 가능성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60%정도가 면역이 형성되어 집단면역이 된다면
나머지 40%정도는 면역이 형성되지 않아 그분들 한정되서 많은 밀접접촉 및 확진이 가능하겠죠....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확진자가 전혀 나오지 않는다기 보다는 바이러스가 A에서 B로, B에서 C로 전파가 되야하는데 B가 면역을 가지고 있으면 A에서 C로 넘어가지 못하는 느낌으로 전체적으로 봤을 때 전파력이 떨어지게 됨으로 인해 확진자 수가 많이 떨어지는 상태를 이야기 합니다. 네 떨어진 확률이지만 밀접접촉 및 확진이 당연히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백신은 코로나19 항체를 사전에 미리 형성하여 면역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합니다. 실제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 되었을때 감염을 예방하는 기능을 합니다. 백신 접종후 코로나19에 확진되더라도 코로나에 대한 면역력이 증가된 상태이기때문에 백신 접종자의 경우 중증진행을 억제할 수 있으며 미접종자보다 더 경미하게 지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다수의 사람이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통해 다수로의 확산을 막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백신 접종을 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