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관세 문제로 시끄럽잖아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무역 갈등을 초래 할듯한데 무역전쟁에서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도 부담이 되잖아요 이러한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이익)을 어떻게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하면서 시행하는 여러 관세조치의 경우 표면적으로는 상대국과의 무역적자를 해소할수는 있습니다. 다만, 관세는 재정수입을 늘리지만 소비세적 성격으로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되다보니 물가가 상승하거나 인플레이션 압력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트럼프는 이러한 조치들은 미국 내에서 제조업을 시행하라는 압박의 성격도 있다보니 일부 국가와 기업의 경우 미국에 공장을 설립하여 생산하게 된다면 미국 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 고용이 증가하며, 수입시 발생했던 무역적자가 해소되어 두마리 토끼 그 이상을 잡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을것으로 보여지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높은 관세 부과는 단기적으로 자국 산업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에도 부담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수입 비용이 증가하면 기업들은 원자재와 부품을 더 비싼 가격에 조달해야 하며, 이는 생산 비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은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하고, 기업들도 비용 부담으로 인해 투자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보복 관세로 인해 미국 수출 기업이 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특히 농산물, 자동차, 기술 산업 등은 해외 의존도가 높은데, 관세로 인해 미국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수출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결국 글로벌 공급망이 불안정해지고 경제 성장이 둔화될 위험이 있어,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관세부과정책은 미국 내 소비자들에게 당장 부담이 될 수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통해 무역적자를 개선하고 미국 내 투자를 촉진시키고자 하는 의지로 보여집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어느정도 성공적인 관세정책을 이끌어내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지속적으로 미국의 전략과 겨로가를 지켜봐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