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락틴수치가 높다는데 어느과를 가야하나요?
생리가 두달정도 없어서 산부인과를 방문하였고 혈액 검사시 프로락틴 수치가 해당 병원의 정상 기준인 23.3인데 제 수치는 23.1이라 따로 언급하지 않으셨고 이번엔 생리 중 유즙이 분비되어 재검사를 하였고 수치가 30.4가 나왔다며 유방외과에 가라고 연락이 왔습니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신경과에 가라는데 유방외과에 가도 되나요?
그리고 제가 채혈하기 3시간 전에 감기약과 위 점막보호제를 복용후 체혈을 한 것인데 이게 수치에 영향을 줄수 있나요?
글고 저정도 수치면 질병의확률이 높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산부인과 검사 결과 프로락틴 수치 증가가 발생하여 질문하셨습니다.
해당 증상은 산부인과 선생님의 말대로 유방외과를 우선 방문하여 감별진단을 해보는 것이 적절하겠으며
검사 전 복용한 약물들이 검사결과 수치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수치는 호르몬 관련한 질환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참조하시어 위 답변이 프로락틴 관련 질병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도움이 되는 답변들에는 질문하신 분을 포함한 열람하시는 분들의 좋아요, 추천 버튼 선택을 권장하며
부족한 답변에는 댓글을 통한 추가적인 소통으로 궁금증을 해소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이런 활동들을 통해 아하(Aha)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유지와 선순환에 도움이 되어 더욱 유익한 커뮤니티로 발전이 가능해집니다.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위점막 보호제 중 일부 약물은 프로락틴 수치를 올릴 수 있습니다. 프로락티 수치가 높다면 먼저 내분비 내과에 내원하여 프로락틴 수치가 계속 높은지 확인 후 필요시 MRI등을 통해 프로락틴을 분비하는 종괴등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우선 감기약 등은 혈액검사 결과에 영향이 낮을것 같습니다.
유즙분비 등이 있으셨다면 유방외과 보다는 내분비내과에 방문하시어 혈액검사를 다시 시행해보시고, 치료방향에 대해 상의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뇌하수체 종양이 있는경우에도 프로락틴수치가 증가할수있어 신경과나 신경외과 에서 뇌하수체MRI 검사를 시행해보시고 문제가 없다면 내분비내과 진료를 보시길 권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