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치?라고 들은거 같은데 어떤 동물인가요?
예전에 조카들이 영상으로 독도수비대강치?라는걸 본적이 있는데 애니메이션인데 강치가 물개같이 생겼던데 실제 우리나라에도 있었다고 하는데요. 강치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지금은 다 사라졌다고하던데 멸종된 이유도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치는 바다사자의 한국 어원 입니다.
해당 생물은 1900년 초 상업적 목적에의한 수렵에 의해서 멸종되버렸습니다.
몸길이 2.5m 내외이다. 군집을 이루어 생활하며, 낮에는 대부분 연안(沿岸)의 육지로 올라와 휴식을 취하거나 바다에 들어가 먹이를 사냥한다. 멸치·오징어·꽁치·고등어 등 어패류를 먹는다. 일부다처제 방식으로 짝짓기를 한다. 수명은 약 20년이다.
안녕하세요. 허용석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치는 한국에서 바다사자를 강치라고 명칭하였으나 국립국어원에서 권장하는 명칭은 바다상어 입니다. 보통 "바다사자"라고 하면 넓은 의미로는 바다사자아과에 속하는 모든 종을 통칭하는 단어지만 좁은 의미로는 본 문서에서 설명하고 있는 Zalophus japonicus 한 종만을 가리킵니다. 조선시대에 강도 높은 공도 정책 시행으로 독도와 울릉도에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았기 때문에 두 섬을 비롯한 동해 연안에 수만 마리가 서식하며 번창했으나 구한말 공도정책 폐지로 서식지가 줄어들고, 바다사자의 가죽과 고기, 뼈 등을 얻기 위한 일본 어민들의 무분별한 남획과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로 수가 급격히 줄었습니다. 일본은 1918년 조수보호법을 제정해 야생동물에 대한 밀렵을 규제했으나 정작 기각류나 고래류 등의 해양포유류는 이 법의 보호대상에 배제되어 있었으며 2002년에 이르러서야 법 개정으로 보호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치는 바다사자를 한국에서 부르는 이름입니다. 한반도 동해안 및 일본 열도 해안가에서 주로 서식하였으나, 1900년대 초 일제의 상업적 포획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였고 독도에 서식하던 강치들은 이때 멸종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독도강치는 바다사자의 일종으로 예전에는 독도에 많이 살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일제시대 강치의 가죽을 노린 일본 어부들의 남획으로 그 수가 크게 줄어 1970년대에 완전히 멸종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지/가제와 같이 독도에서 서식하던 바다사자의 다른 이름을 말합니다.
일본의 남획으로 1940년대에 이미 매우 심각한 멸종위기종에 처해졌습니다. 1970년 이후 더 이상 발견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일제의 만행과 그 이후의 보존 실패로 인해 결국 해방 이후에 남아있는 강치들은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