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정중한꽃무지16
정중한꽃무지16

방어기제 종류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서 올립니다.

방어기제라는 단어를 얼마전에 들었는데 궁금해서요...

심리적인 방어기제가 있다고 하던데 방어기제에는 어떤종류들이 있을까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엄청난딱따구리109
    엄청난딱따구리109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노기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방어기제는 내부/외부의 위험상황을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자아의 무의식적인 기능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그것이 좋은 방법이든 좋지 않은 방법이든 위험상황에서 자기자신의 마음을 지키고자 하는 무의식적인 노력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성숙한 방어기제도 있고 미성숙한 방어기제도 있으며 자기애적인 방어기제, 신경증적인 방어기제도 있습니다. 종류별로 분류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성숙한 방어기제
    1)억제(suppression)
    -쉽게 말하면 참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어떠한 경험의 쾌락효과를 제거한다고 볼 수 있다.
    예) 욕을 듣고 화가 났지만 맞서 욕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

    2)유머(humor)
    -느낌이나 생각을 자신과 타인에게 불쾌하지 않은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예) 거래처 직원과의 불편한 분위기에서 농담으로 분위기를 누그러뜨리는 영업사원

    3)이타주의(altruism)
    -남을 건설적으로 도우면서 그로 인한 보람을 내재화하면서 대리만족을 느끼는 것이다.
    예) 기업가가 자산을 사회에 환원하거나 기부를 하는 것

    4)승화(sublimation)
    -부정적이거나 공격적인 충동을 오히려 건설적이고 유익한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예)성적인 충동이나 공격적 에너지를 운동이나 춤으로 발산하는 것

    2. 자기애적 방어기제
    1)부정(denial)
    -의식적으로 감당하지 못할 욕구나 충동을 현실을 부정함으로써 불안을 회피하는 방법이다.
    예) 암환자가 자신이 암이 걸리지 않았다고 믿음

    2)투사(projection)
    -자신에게 문제가 있음에도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자기 문제의 원인을 외부로 돌리는 것, 즉 남탓을 하는 것이다.
    예) 사실은 자신이 누군가를 미워하는데 그 대상이 자신을 미워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라 주장하는 것

    3)퇴행(regression)
    -이미 이룬 어떤 발달단계 이전으로 되돌아가는 것
    예)동생이 태어나면 소변을 잘 가리던 아이가 소변을 실수하는 모습

    3. 미성숙한 방어
    1) 함입, 내재화(introjection)
    -남의 부정적인 속성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며 자신도 똑같이 행동함으로써 심리적 갈등을 회피하는 것
    예) 아버지에게 맞고 자란 아이가 커서 아버지가 되어 아이를 똑같이 구타함.

    2)신체화(somatization)
    -심리적 불편을 신체현상으로 대신 표현하는 것
    예)학교에 가기 싫은 아이가 배가 아프다고 하는 것

    4. 신경증적 방어
    1)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용납할 수 없는 충동과 정반대로 행동하는 것이다.
    예) 고소공포증 환자가 취미로 암벽등반을 하는 것

    2)고립(isolation)
    -가슴아픈 사건이나 생각을 인지적으로 기억은 할 수 있지만, 수반된 정서는 망각하는 것
    예)이성친구와 이별한 후 이에 대해 기억은 하지만 슬픈 감정은 못느낀다고 하는 경우

    3)전치(displacement)
    -욕구, 감정, 충동을 보다 덜 위협적인 대상에게 표현하고 충족하는 모습
    예)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가서 눈 흘기기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안장이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이솝우화에 한 여우가 포도밭에 탐스러운 포도를

    먹기위해 시도하지만 실패하자 결국 애초에

    저 포도는 먹고싶지 않았어

    아마 저포도는 반드시 신 포도일거야

    라는 결론을 내리며 가던길을 가게됩니다.

    어떤 목표에 대한 실패를 자기 변명으로

    은폐시키려는 여우의 이러한 행동을

    합리화라는 방어기제가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의 방어기제의 적절한 사용은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 시키며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현실을 직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습관적인 사용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황석제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방어기제는 사람에따라다양한형태로사용됩니다

    예를들어 억압 억제 합리화 투사 반동형성 승화 퇴행 등 다양하게 개인의 특성에따라나타납니다

    방어기제는 적절하게사용한다면정신건강에좋을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