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비둘기
비둘기

과거에 토지를 화전하였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과거의 농업기록들을 보면 주기적으로 토지에 화전을 하였다는기록이 있습니다. 그런데 제 생각으론 화전을 하면 오히려 토지에 있는 미생물을 다죽이고 풀등의 재로인해 토지에 악영향을 줄듯한데 왜 화전을 하였는지 이해가안되더라구요.

화전을 한 이유가 궁금한데 답변부탁드려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에 숲을 베고 불을 지르는 방식으로 농지를 확보하는 것은 기계화 농업이 발달하기 전까지 유럽과 아시아의 많은 지역에서 흔하게 사용되었습니다.

    화전은 쉽고 빠른 방법으로 농지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지만, 그로 인해 생태계와 지형이 파괴되는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화전으로 인해 생태계가 파괴되면서 땅이 바위와 같은 경작이 어려운 상태가 되기도 하였고, 홍수와 같은 천재지변의 위험도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시에는 화전이 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이 방식이 이용되었습니다. 현재는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보다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농업 방식을 발전시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속가능한 농업 기술인 '친환경 농업'이나 '유기농 농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생태계와 환경을 보호하는 농업 방식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전농업이란 나무를 태워서 그 재를 거름으로 삼아 하는 농업이죠

    과거에는 농사지을 땅이 많이 없었기 때문에 농사를 다 짓고 나면 그곳의 유기물이 다 없어져버리기 때문에

    나무를 태워 그것을 거름 삼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방식의 농업을 했죠

  • 안녕하세요. 최영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당시엔 비료기술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땅에 비료를 줄 수가 없었습니다. 화전을 하게되면 일시적으로 지력이 회복되어 셍산량이 증대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에서도 과거에는 자신의 토지가 없는 농민들이 일구는 화전이 많았어요 6.25 전쟁 중 정부의 청야작전 때문에 많은 수가 끌려내려왔고,1965년 박정희 정권때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면서 남아있던 빨치산의 잔재나 북한 간첩,공비들의 침투 혹은 게릴라전 전장이 될 지역인 산속에 숨어있는 화전민촌을 없애는 작업에 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농지가 부족해서입니다.

    대부분의 토지는 농사를 짓고나면 토지의 양분이 소모되어 작물이 잘 자라지 않습니다.

    그래서 잡초가 자라는 곳에 불을 지펴 잡초의 재를 섞어 지력을 조금 회복하여 농사를 짓고 다시 다른 땅으로 옮겨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즉 따로 비료를 주지 않고 불탈 때 나온 재와 토지가 원래 가지고 있는 양분에 의존해 작물을 키우기에 지력이 빨리 소모되기 때문에 화전 경작을 하는 사람들은 끝없이 옮겨다니며 새 땅을 일궜던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