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서 bps의 뜻과 어떻게 계산하는지 궁금합니다.
주식관련해서 알아보다가 bps라고 주당순자산가치라는 말이 자주나오던데요. 무슨뜻이고 어떤경우 사용되는 용어인가요? 그리고 계산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기업의 순자산이 남는데, 이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하며, 기업이 활동을 중단한 뒤 그 자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1주당 얼마씩 배분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BPS가 높을수록 수익성 및 재무건전성이 높아 투자가치가 높은 기업이라 할 수 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PS란 Book-value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장부가치를 의미합니다.
BPS는 기업이 자사의 모든 자산을 장부 가치로 청산한 한 후 우선주를 포함한 모든 부채를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총 발행된 보통주식의 수로 나눈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당장부가치=(총자산-총부채)/총 발행된 보통주식의 수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PS는 'Book-value Per Share'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주당 순자산 가치'라고 번역됩니다. 이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실질적인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기업의 순자산은 기업이 보유한 총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입니다. 따라서 BPS는 기업의 순자산을 시중에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이며, 이를 통해 1주당 순자산이 얼마인지 알 수 있습니다.
BPS는 주식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BPS가 높다는 것은 자기자본의 비중이 크거나 회사 가치가 높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BPS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BPS = 순자산 금액 / 발행 주식수
이때, 순자산은 기업의 재무제표의 잔액시산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총 발행 주식 수는 기업의 주요 재무지표나 금융 정보 웹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ps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빼면 기업의 순자산이 남는데, 이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수치를 말한 값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PS는 'Book-value Per Share'의 약자로 주당순자산이라고 해요. BPS는 기업이 향후에 기업 활동을 중단하게 될시에 회사가 가진 자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얼마나 나누어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BPS가 높다면 이 회사는 청산을 하게되더라도 향후 자산이 높아 주주들에게 배분되는 자산이 많이 돌아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해요. 그렇기 때문에 BPS가 높은수록 재무건전성이 높은 기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투자시 활용되는 지표에요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PS는 주당순자산가치(Book-value Per Share)의 약자로,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주수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만약 회사가 지금 청산된다면 주주들에게 돌아갈 자산 가치를 주당으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주로 저평가된 주식을 찾거나,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기업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PER이나 PBR과 함께 활용하면 기업의 가치를 보다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BPS는 주당순자산가치(Book Value Per Share)를 의미합니다. BPS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된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주식 한 주당의 순자산가치를 나타냅니다. BPS는 기업의 안정성과 가치를 측정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BP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BPS = (기업의 순자산) / (발행된 주식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