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24.05.10

'없음' 과 '없슴'의 표기 중 어떤 것이 맞는 표기인가요?

제가 알기로는 '없음'이 맞는것 같은데 종종 '없슴'으로 표기되어 있는 서류를 보게 됩니다. 두 표기법 중 어떤 것이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없음, 있음 같은 형용사는 있다, 없다에 대한 명사 형태의 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형용사를 명사로 하여 음이라는 종결의미가 붙어야 하는 형태라고 합니다.

    따라서 '없음'이 맞는 표기입니다.

  • 없음과 없슴 중 어느 것이 맞는지에 대해서 혼돈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것은 동사나 형용사의 형태로 사용할 때 '없습니다'가 표준어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혼돈입니다.

    우선 둘 중에서 맞는 표현은 '없음'입니다.

    이는 '없다'라는 형용사의 명사 형태의 표기로서 '음'이라고 하는 종결어미를 사용한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보통 '없습니다'라는 정중체 표현을 말이나 글로 많이 쓰다보니 원래의 형용사 원형인 '없다'에서 만들어진 것을 잊고, '없습니다'에서 만들어졌다고 착각하고는 '없슴'이 맞는 것이 아닌가 하는 것입니다.

    특히나 과거에 '~읍니다'와 '~습니다'를 혼용해서 쓰다가 표준어로서 '~습니다'로 통일되고 나니 '없습니다'가 형용사의 원형인 것으로 잘못 인지하게 된 것입니다.

    '있음',과 '있슴'도 마찬가지인데 맞는 표현은 '있음'입니다.

    감사합니다.

  • '없음' 으로 표기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없음'은 '없다'의 명사형으로 어떤 것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없슴'은 표준어가 아니며 정확한 문법에 따른 표현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없음이 맞는 표현입니다. 한글 맞춤법 규정이 1988년 개정되었습니다. 종결어미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뀌게되었습니다.

  • ‘없음’은 일반적으로 문맥에 따라 사용되며, “아무 것도 없다” 또는 “어떤 것도 없다”는 의미로 쓰입니다.‘없슴’은 주로 문학적인 표현이며, “없다”와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이 표현은 일상 대화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기에 일반적으로는 없음이라고 써야 할것 같습니다.

  • 없음이 맞습니다.

    없슴은 틀린 맞춤법으로

    이렇게 쓰는 사람들도 몰라서 그렇게 썼다기보다는

    서류에 오타를 낸것으로 보여지네요

    도움이 되셨다면 답변자에게 힘이되는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