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11.09

지문은 어떻게 형성되고 개인마다 다른 패턴을 가지게 되는지, 이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이나 이론이 있을까요?

왜 사람마다 지문이 다른 걸까요?

지문의 다양성은 어떤 요소에 의해 결정되나요?

유전적인 영향 외에도 환경적인 요소나 개인의 생활습관, 노화 과정 등이 지문의 다양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종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리적으로, 사람의 손가락 끝에 있는 지문은 고유한 무늬와 주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태어날 때부터 유전적인 요인에 따라 결정되며, 환경적인 영향이나 발육 과정에서도 모양이 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사람의 지문은 고유하게 형성되어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식별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지문 인식은 이러한 개인적 특성을 활용하여 개개인을 식별하는데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문은 사람이 태어나기전 태아 단계에서 형성됩니다.

    이때 각각의 다른 패턴이 생긴다고 합니다. 물론 같을 확률도 있습니다. 약 1/640억 이라고 하니

    거의 확률이 없다고 봐야 할듯 합니다.

    또한 유전과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미세하게 달라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지문이 다릅니다. 지문은 태아의 뱃속에서 임신 10주 정도에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이때, 손가락과 발가락의 피부 세포가 빠르게 증식하면서, 피부 표면의 각질층에 융선이 생기게 됩니다. 이 융선의 모양과 배열이 지문을 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은 손을 잘 사용하는 동물로 유명합니다.

    손을 잘 사용한다는 것은 손에 미세한 근육뿐만 아니라 감각도 필요한데 이 지문에 있는 파여있는 골이 손가락 끝에 있는 감각을 좀 더 예민하게 해서 물건을 다룰 때 유리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

    이런 점이 사람의 손가락에 지문이 발달할 수 있도록 한 요인이 되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임신 13~19주 사이에 유전적 요인으로 형성된다고 합니다. 지문형성에 관여하는 3개지 유전자를 찾았다고 합니다.

    WNT는 '지문 돌기' BMP는 움푹 파인 '홈' EDAR은 '능선 간격과 크기'를 결정한다고 하네요.

    태아때 결정되기 때문에 후천적인 영향은 크지 않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9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문은 사람을 비롯한 영장류 대부분과 코알라등 일부 비영장류 동물의 손가락 끝부분에 난 소용돌이 모양의 금 또는 그 흔적을 말합니다

    태아의 발생 과정에서 손끝의 땀샘 부분이 부분적으로 융기하면서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또한 일란성 쌍둥이라도 지문은 일치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물려받은 유전자는 같지만 지문이 형성되는 자궁 속에서 각기 돌연변이가 진행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굳이 확률로 따지자면 어떤 두 사람의 지문이 같을 확률은 640억분의 1이라고 하네요

    항상 건강하시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문은 손가락 바닥쪽 끝마디에 있는 피부능선이 모여서 된 구조로 이 능선에 샘분비 땀샘관이 열려 있고 여기서 분비되는 땀에 의해서 지문을 남기게 됩니다. 지문은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 층판소체를 자극하여 질감을 예민하게 느끼는 데 역할을 합니다.

    손가락 끝에 나 있는 지문의 모양은 사람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일란성 쌍둥이라도 지문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물려받은 유전자는 같지만 지문이 형성되는 자궁 속에서 각기 돌연변이가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굳이 확률로 따지자면 어떤 두 사람의 지문이 같을 확률은 640억분의 1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많은 주변요인이 지문 형성에 요인을 미치기 때문에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사람마다 그 지문이 서로 다를 것이라는 경험적 발상을 하게 된 것입니다.


    실제로 헨리라는 영국인이 중국 노무자의 임금을 지불할 때, 그 증거로서 지문을 받아놓으면서 이를 이용하여 "과연 지문이 사람마다 서로 다르구나" 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적이 있지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