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비염과 만성 비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재채기나 콧물이 나는 비염 증상이 가끔 일어나는데, 항상 알레르기 비염이라고 하시더라구요. 만성 비염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병관 내과 전문의입니다.
만성비염은 시간을 기준으로 말해서, 감기등에 의한 일시적인 증상을 급성비염이라고 봐야겠습니다.
대부분의 만성비염은 알레르기 비염인 경우가 많아서, 알레르기에 의해 오랜 기간 나타나면 만성 비염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알레르기 비염은 특정 알레르기 유발 물질(알레르겐)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물질에는 꽃가루, 먼지, 애완동물의 털, 곰팡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면 재채기, 콧물,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알레르기 비염은 계절성(계절에 따라 발생) 또는 연중 내내 지속되는 만성 형태일 수 있으며,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노출될 때 증상이 악화됩니다.
만성 비염은 알레르기와 관계없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비염을 말합니다. 만성 비염의 원인으로는 환경적 자극(담배 연기, 공해 등), 만성 감염, 비강 내 구조적 문제(비중격 만곡, 비강 폴립 등), 특정 약물의 장기 사용 등이 있습니다. 만성 비염의 증상은 코막힘, 두통, 후비루(목 뒤로 점액이 흘러내리는 느낌), 후각 감소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며, 항히스타민제나 비강 스프레이와 같은 약물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만성 비염은 그 원인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이 필요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항생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스프레이, 수술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개념의 차이일 뿐입니다. 알러지성 비염은 비염이 발생하는 원인이 알러지에 의한 것임을 의미합니다. 반면 만성 비염은 비염이 만성적으로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 이야기하는 용어입니다. 즉, 알러지성 비염은 만성 비염인 경우가 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