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3.11

일본이 진주만 기습은 왜 했을까요?

태평양전쟁의 시작이 된 일본의 진주만 기습에는 어떤 판단이 바탕이 된걸까요?

전력상으로 미국에 열세라고 판단을 했을테니 대규모의 기습공격으로 초반러쉬로 승부를 보려고 했던 것 같은데 결과적으로는 미국의 참전의 명분과 계기를 마련해 주고 결국 패망으로 이어진 것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진주만을 기습한 이유는 결코 그곳을 점령하기 위한 것은 아니었으며 시간을 벌기 위한거였으며 미태평양함대를 무력화시킴으로써 제한된 시간 내에 동남아시아 일대를 쉽게 장악하기 위해서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진주만을 침공한 이유는 미국이 일본에 대한 석유수급을 막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석유가 있어야 전쟁을 수행하고 산업도 굴릴텐데 미국이 일본이 선을 넘는걸 막으려고 석유수급을 끊기 시작하고

    석유뿐만 아니라 무기 수출에 필요한 고철을 일본에 수출하는 것도 금지시켰죠.

    이 말은 일본이 진주만을 침공하지 않았을 경우 그대로 말라 죽게 된다는 겁니다.

    미국이 일본을 견제할때에 일본이 머리 숙이고 전쟁도 멈추고 경제발전에만 힘을 쏟았다면 지금보다 더한 강대국이 될수도 있었겠지만 그냥 진주만 침공만 안하는 상태로 전쟁을 계속했다면 더 안좋은 상황을 맞았을 거라고 어떤 글에서 읽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식민지를 확장하려자 미국은

    일본에 더 강력한 경제 제재까지 미국은 가했습니다. 필요한 석유의 80%를 미국에 의존하던 일본에게는 타격이 컸습니다. 그래서 일본의 도조 히데키 총리와 야마모토 이소로쿠 사령관은 강하게 미국의 기습공격을 주장했던 인물로 두 사람을 필두로 일본은 진주만 공습을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이 미국을 공격학 된것은 그 만한 이유가 있었겠죠. 그 중에 제일의 이유는

    일본의 제국주의 야욕을 꺽으려는 미국의 경제제재에 있습니다. 석유 금수조치, 철강 수출 제한 조치가 그것입니다.

    석유가 없이는 아무것도 할수가 없는 처지가 된 일본은 어쩔수 없이 미국과의 전쟁을 결정하게 되고, 전쟁을 하게 되면 선제공격을 계획하게 된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진주만을 공격한 목적은 결코 그곳을 점령하기 위한 것은 아니었으며,

    다만 미태평양함대를 무력화시킴으로써 제한된 시간 내에 동남아시아 일대를 쉽게 장악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일본은 1941년 인도차이나 반도를 점령하고 후반기에 동남아시아 자원지대를 확보하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그해 12월, 선전포고 없이 진주만과 필리핀 · 말레이 반도를 동시에 공격했으며

    미태평양함대는 완벽한 기습공격을 당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일본군은 침공 후 약 5개월 동안 최강으로 군림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일본의 진주만 기습 - 미태평양함대 무력화(1941년) (세계전쟁사 다이제스트 100, 2010. 7. 16., 정토웅)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은 미국과의 전쟁을 시작할 방법을 두고 논의하는데, 이때 연합함대 총사령관 야마모토 이소로쿠가 전쟁계획을 제안하고 그의 주장에 따르면 그나마 현실적으로 미국과 싸울 방법으로 하와이의 진주만을 기습하여 거기에 기지를 둔 태평양 최강의 함대인 미국 태평양 함대를 전멸 또는 최소한 괴멸 직전 상태로 몰아가는 것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자원 수요: 일본은 군사력과 산업력을 유지하기 위해 석유와 고무와 같은 천연 자원의 수입에 크게 의존했습니다. 그러나 태평양 지역에서 상당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던 미국은 일본의 아시아 팽창주의 정책에 항의하기 위해 금수 조치를 취했습니다. 일본은 금수 조치를 생존에 대한 위협으로 보았고 미국을 공격하면 필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전략적 고려사항: 일본은 아시아에서 제국을 확장하고 있었고 미국은 일본의 야망에 잠재적인 장애물로 여겨졌습니다. 진주만 공격을 통해 일본은 미국 태평양 함대를 무력화하고 확장에 대한 위협으로 미국을 제거하기를 희망했습니다.


    국내 정치적 고려: 당시 일본 정부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한다고 믿는 군국주의자들이 지배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미국과의 전쟁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았고 진주만 기습 공격이 어떤 분쟁에서든 일본이 우위를 차지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미국이 2차대전에 참전할 수 밖에없는 상황에 처하자 일본이 미리 선수를 쳐서 전쟁의 분위기를 압도하려했던것입니가.


  • 진주만 공격의 원인은 미국과 일본의 마찰로부터 시작합니다. 일본의 중국진출은 필리핀에 식민지를 두고 있는 미국과 필연적인 마찰을 불러올 수 밖에 없었고, 이윽고 미국은 일본에 대해 석유와 기타 전쟁에 필요한 자원의 금수조치를 단행합니다. 그러자 일본은 자원이 풍부한 동남아시아에 눈을 돌리게 되었고 미국과의 전쟁은 피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미국과의 전쟁에 있어 당시의 연합함대 사령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제독은 절대 반대였습니다. 미국으로 유학을 다녀온 적이 있어 미국의 생산력이 어떠한지를 잘 알고 있던 야마모토 제독은 미국과의 전쟁은 승산이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지만 일본군 수뇌부의 주장에 의해 어쩔 수 없이 개전의 준비를 할 수 밖에 없었고, 가장 가능성이 높은 작전으로 1회의 기습공격으로 미국의 주력함대를 격파하고 그 사이에 일본육군이 동남아시아를 석권한다는 작전을 세웠습니다. 이 작전에 의해 미국 태평양함대의 기지 진주만을 공습하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당시 일본은 독일과 협약을 맺고 유럽은 독일이 프랑스와 영국을 상대해서 이길것으로 판단했고 일본은 미국만 잡으면 2차 대전에서 승리 할것으로 판단 한 것이지요. 그래서 진주만을 먼저 공격해서 기선을 제압하려고 한 것 입니다. 결과적으로는 잠자는 사자의 털을 뽑은 결과가 되었고 미국에게 전쟁 참가에 대한 대의 명분을 심어 준 꼴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