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영특한삵262
영특한삵262

남자아이 7세 몽유병에 대해 질문이요

7살 남자아이이고 자다가 갑자기 무슨 소리를 하며 울부짖습니다. 그리고 벌떡 일어나 돌아다니기도 하고요.

꼭 안아서 달래주는데 기억을 못해요.

해결방법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몽유병 자체에 대한 특별한 치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밤에 숙면을 취하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소아기 몽유병은 대부분 나이가 들어가면서 자연적으로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예전에는 이런 행동을 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이런 증상이 일어났을까요?

      그렇다면, 최근에 아이 주변 환경에 큰 변화가 있었는지 주변을 살펴 보셔야 합니다

      또한 낮 동안에 스트레스 받을만한 일들이 있었는지도 점검을 해보셔야 합니다

      잠 자기 전에 편안하게 잠이 들 수 있도록 부모가 항상 옆에서 같이 자주고, 다독거려 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몽유병이 심하면 병원에서 상담을 하셔야 합니다

      아이의 행동을 영상에 담아 놓고 상담을 하기 바랍니다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야경증의 경우에 아이의 수면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규칙적인 시간에 잠들고 일어나는 것이 중요해요. 또 너무 시끄럽거나 어지러운 환경에서 잠들지 않게 해야 하고 수면 직전 동영상 등을 보지 않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자는 모습을 영상으로 찍어서 병원에 가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몽유병은 여러요인이 있을수있으나 돌아다니는 정도라면 어느정도 상담이 필요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일 어린 시절에는 밤에 말도하고

      소리도 지르고 돌아다니기도 하나 점차

      크면서 사라지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이러한 야경증은 초등학교 이후에는

      점차 사라지고 많은 아이들이 보이는 증상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몽유병을 대체 하는 방법으로는

      첫번째, 주변에서 아이의 행동을 살피세요.

      - 강제로 잠을 재우거나 깨우지 말고 행동을 제지 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억지로 아이의 행동을 통제 하려고 하면 난폭한 행동을 보여 더욱 위험한 상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 입니다.

      두번째, 아이에게 증상을 설명해 주도록 하세요.

      - 몽유병의 특성상 아이는 자신이 한 행동을 기억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지난 밤 일을 다그쳐 묻지 않아야 하고, 아이가 보인 행동을 자세히 알려준 후, 행동(증상)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어야 합니다.

      세번째, 안전한 환경을 조성해 주세요.

      - 몽유병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단지 수면 상태에서 하는 행동이 사고로 이어져 아이가 다칠 수 있기 때문에 바닥이나 손이 닿는 곳에 있는 물건은 다른 곳으로 옮겨주세요. 또한 수면 상태에서 움직이는 범위가 넓다면 안전문을 설치하고 현관문과 창문을 잠그도록 하세요. 그리고 침대에서 재우는 경우라면 바닥에 떨어져 다칠 수 있으므로 아이를 재울 때 바닥에 재우는 것이 좋겠습니다,

      네번째, 아이를 안심시켜 주세요.

      - 지나치게 놀라거나 걱정하는 가족의 반응은 아이를 불안하게 만듭니다. 부모는 아이 증상을 침착하게 받아들이고 아이에게 몽유병은 위험하거나 해로운 질병이 아니고 곧 사라질 것이라고 알려 걱정을 덜어주세요. 아이를 안아주고 아이 등을 토닥이면서 잘 달래어 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몽유병요인

      1.낮시간의과도한스트레스

      2.불안기질이높은경우

      우선스트레스를 낮추세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그만때 가끔 일어나는 몽유병일 경우가 많아요.

      기가 약한 아이들이 많이 하더라구요.

      혹시나 위험하게 문열고 나가거나 창문의 경우 조심해야 하니 잘 지켜봐주셔요.

      만약 강도가 심해 매일 일어 장기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전문의 상담 받아보는것이 좋을듯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