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23.09.02

여름에는 황사나 미세먼지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겨울이나 봄에는 사흘이 멀다하고 황사 경보나 미세먼지 경보가 발효되어 생활하기 불편한데 여름에 황사가 일어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여름에는 황사나 미세먼지가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는 황사나 미세먼지가 없는 이유는 여름철에는 강수량이 많아서 대기 중의 미세먼지와 황사를 씻어내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날씨가 선선하거나 추울때는 난방을 위해서 많은 석탄을 사용합니다. 이에 미세먼지가 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는 일반적으로 황사나 미세먼지가 적지만,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니며, 대기 오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2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사와 미세먼지의 발생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 하나가 계절적인 기후 변화입니다.

    황사는 중국 북부와 몽골에서 바람에 의해 흙이 날아가면서 발생합니다. 겨울과 봄철에 이 지역은 건조하고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황사 발생이 잦습니다. 반면 여름철에는 비가 많이 내려 토양이 충분히 습기를 가지게 되어, 바람으로 인한 토양의 날림 현상(즉, 황사)이 크게 줄어듭니다.

    미세먼지는 공장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 자동차 배기가스, 석탄 연소 등 다양한 원인으로 생성됩니다. 겨울철에는 난방을 위해 석탄을 많이 사용하며, 대기가 안정되고 역전현상(상층 대기보다 하층 대기의 온도가 더 낮아짐)이 일어나면서 대기 중의 오염물질들을 밀어내지 못하고 공중에 유입시키므로 미세먼지 수치가 증가합니다. 반면 여름철엔 상대적으로 석탄 사용량이 줄고, 기온도 올라감으로써 대기 순환도 원활해져 미세먼지 수치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여름에는 미세먼지나 황사가 없는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비가 많이 내리기 때문

    여름에는 장마철과 태풍이 잦아 비가 많이 내립니다. 비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와 황사를 씻어내어 대기를 깨끗하게 합니다.


    바람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

    봄과 겨울에는 중국에서 유입되는 황사와 미세먼지가 우리나라로 들어옵니다. 그러나 여름에는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서 중국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와 황사가 우리나라로 들어오지 않게 됩니다.


    공기 순환이 원활하기 때문

    여름에는 기온이 높고 습도가 높아 공기 순환이 원활합니다. 공기 순환이 원활하면 대기 중의 미세먼지와 황사가 흩어져 농도가 낮아집니다.


    물론, 여름에도 미세먼지와 황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도시에서는 자동차 배기가스와 공장 배기가스 등으로 인해 미세먼지와 황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황사가 발생하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날씨가 비슷한 경우, 황사가 우리나라로 유입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여름에는 미세먼지와 황사가 발생하는 빈도가 낮고 농도가 낮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