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신대부적오함마
신대부적오함마23.02.24

여름에는 왜 황사나 미세먼지가 없는건가요?

해마다 이맘때만되면 황사니 미세먼지니 심각한데요. 근데 왜 여름에는 황사나 미세먼지가 없는건가요? 아니면 있긴있는데 아주 미세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4

    름에는 황사나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여러 가지 이유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첫째, 여름철에는 강한 태양광선과 높은 기온으로 인해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증발하여 습도가 높아집니다. 이렇게 습도가 높아지면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물 분자와 결합하여 비롯되거나, 미세먼지의 흡착능력이 감소하여 대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둘째, 여름철에는 상층 대기의 기류가 강해지면서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북방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특히, 한반도 주변 지역에서는 여름철 상층의 북동성 바람으로 인해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우리나라 주변을 지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셋째, 여름철에는 지표면에서 일어나는 대기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대기 중의 미세먼지가 지표면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농작물이 자라고 꽃이 피는 등 지표면에서 발생하는 물질이 대기 중에 배출되면서 미세먼지가 대체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여름철에도 미세먼지는 존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시 등 인구 밀집 지역에서는 여름철에도 미세먼지 발생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여름철에는 대기 중 높은 기온과 습도로 인해 대기 중의 미세먼지나 황사 입자들이 빠르게 충돌하거나 물방울에 의해 물림 현상이 발생하면서 대기 중에서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건조한 기후와 더불어 강한 태양광이 있어 미세먼지나 황사의 생성 원인 중 하나인 공기 중의 화학반응이 저하되어 적게 발생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여름에는 황사나 미세먼지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미세먼지는 매우 작은 입자로서 대기 중에서 오랜 시간 동안 떠다니기 때문에 극히 적은 농도로라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름에도 대기 중에 미세먼지가 존재할 수 있지만, 대체적으로 봄과 겨울철에 비해 농도가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람의 방향이 중국에서 오는 방향이 적은 이유도 있고 잦은 태풍 등으로 미세먼지가 다른쪽으로 빠르게 이동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잦은 비로인해서 씻겨 나가는 경우도 ㅁ낳이 있씁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사는 주로 봄철에 중국 사막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서 생깁니다.

    여름철에도 미세먼지 현상은 발생하긴 하지만, 평소에 봄가을겨울에 비해 습하고 비도 자주 오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생기더라도

    금방 씻겨나가기 때문에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에서 여름철에는 중국에서 오는 미세먼지나 황사가 줄어드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바람의 방향: 여름철에는 일본열도 상공에서 북동쪽으로 불어오는 태풍이 많아져서, 한반도에 도달하기 전 중국에서 올라오는 미세먼지와 황사가 바람에 실려 일본 바다쪽으로 이동합니다. 그 결과 한국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일본이나 바다로 이동하여 미세먼지와 황사가 줄어드는 것입니다.


    강한 소용돌이: 여름철에는 한반도 주변에 적도고기압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바람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소용돌이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소용돌이는 중국과 한국 사이에 미세먼지와 황사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


    비가 많은 기후: 여름철에는 한반도에 비가 많이 내리는 기후입니다. 비가 내리면 대기 중 미세먼지와 황사가 습기와 함께 지면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황사 농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물방울: 한국에서는 여름철에 물방울이 많이 생기는데, 이러한 물방울이 미세먼지와 황사를 포획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황사 농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한국에 중국에서 오는 미세먼지와 황사가 줄어드는 이유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철에도 황사나 미세먼지는 존재합니다만,

    우리나라 지리학적 특성으로 장마나 태풍이 잦은 여름은 비로인해 겨울철보다 덜 체감하게 되는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선요섭 과학전문가입니다.

    황사와 미세먼지는 주로 산업 배출 가스, 자동차 배기가스, 사막의 자연 먼지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대기 오염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봄철에 중국과 몽골에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실어 나르는 서풍이나 북서풍이 부는 봄철에 이들 오염 물질의 농도가 높습니다. 여름에는 습한 공기와 비를 가져오는 장마철이 시작되어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