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관절염에 적당한 운동이 좋은가요. 아님 아껴서 쉬어줘야 하나요
의사선생님마다 처방이 달라서 궁금하네요 무릎이 아프면 무조건 쉬어야 힌다고 하시는 선생님이 계시고 또 어떤 선생님은 적당히 걸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데 어떤 말씀이 맞을까요 퇴행성 관절염 2기 정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관절, 근육의 염좌로 통증이 지속될 경우 가장 좋고 확실한 치료방법은 해당 부분을 사용하지 않는 것 입니다. 생각날때마다 신경써서 안쓰는게 아닌 완벽하게 고정 후 무의식적인 움직임도 줄이는 것이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사료됩니다.
다만 무리한 활동이 아닌 지속적으로 약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아쿠아로빅 걷기등 부하가 적은 운동을 시도하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퇴행성 관절염 2기시고 현재 붓기 및 열감등이 없는 상태라면 적당한 평지걷기 운동등이 필요합니다.
적당한 걷기운동으로 대퇴사두근 등이 유지되어야 무릎건강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1. 무릎 운동은 '퇴행성 무릎 관절'에 안좋습니다. 오랜시간 많이 써고 노화되어 걸린 질환인데, 운동을 하면 더쓰니까 당연히 안좋겠지요.
2. 운동은 모든 관절염에 좋습니다. 관절과 인대의 유연성강화, 관절 근육 강화로 인한 충격 흡수. 등등 좋은 점은너무 많지요.
즉 두 분 다 맞는 얘기를 하셨습니다만, 조금 헷갈리시지요.
다음과 같이 해보세요.
3. 많이 아플때는 운동하지 않는다.
4. 증상이 완화되면 '무릎에 부담되지 않는' 운동 위주로 무릎 주변의 근육 (우리 몸에거 가장 큰 대퇴근을 포함하여)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한다.
* 무릎에 부담되지 않는 운동 예시 : 수영, 레그익스텐션 (헬스기구)
* 무릎에 부담되는 운동 예시 : 스쿼트, 달리기
도움되셨다면 좋겠습니다~
두 의사 선생님 모두 맞는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무릎의 관절염이 있으면 관절이 더 닳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최대한 휴식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체중감량이 필요하며 그렇기 때문에 적당히 걸어야 하는 것도 맞는 이야기입니다. 결론적으로 무릎에 부담이 되지 않을 정도로만 활동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관절이 붓고 아플 때는 쉬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이 심하지 않으면 관절 운동 범위 유지를 위해 구부렸다가 펴는 운동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제자리 걷기나 평지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이나 물속에서 걷기운동을 해서 체중부하를 최대한 줄인 상태에서 근력운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단오르내리기, 등산은 피해야하는 운동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무릎은 소모성 관절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면 빨리 닳을수 있습니다. 걷기 운동은 주변 근육을 강화시켜 무릎에 도움이 될수 있지만 평지가 아닌 곳이나 과한 운동은 오히려 무릎통증을 악화시킬수 있습니다. 운동은 적당하게 조절하시고 운동 전후 충분한 휴식 및 필요시 온찜질이나 냉찜질을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무릎에 무리가 가지않으면서 효과적인 운동은 평지 걷기, 실내 자전거(무릎이 너무 펴지거나 굽혀지면 좋지 않습니다), 수영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무릎의 관절염이 온경우 일단 휴식을 취하셔야합니다.
계속해서 무리한 운동을 하시면 계속되는 염증으로 더 안좋게 될 수 있습니다.
어느정도 휴식으로 무릎의 안정을 찾은 후에 처음에는 10분정도의 걷는것으로 시작하여 점점 시간을 늘려 걷는 습관을 가지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무릎에 하중이 많이 걸리면 안되기 때문에 체중조절을 하셔야합니다.
비만인 분들일 수록 무릎, 허리 등이 안좋습니다.
진통제(아세토아미노펜 계열, 대표적으로 타이레놀이 있습니다.)
항염증제
등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관절 안 쪽으로 하이알루론산을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