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디는 어떤 사상을 갖고 있었나요?
인도의 유명한 비폭력주의자인 간디는 어떤 사상을 갖고 비폭력시위를 한 것인가요?
간디의 알생과 간디의 사상은 어떠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마하트마 간디(1869년 ~ 1948년, 인도 독립 운동의 지도자)의 근본사상은 정절을 지키면서 적을 사랑하고 폭력을 부정함으로써 개인의 자유와 인도의 독립을 가져올 수 있다는 비폭력,불복종,
비협력을 의미하는 사상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간디의 생애와 사상이 궁금하군요. 아래는 백과사전의 내용입니다.
간디는 1869년 10월 2일, 인도의 포르반다르에서 태어났다. 그는 19세에 법률을 공부하기 위해 영국으로 갔다가 22세에 변호사가 되어 인도로 돌아와서 변호사일을 하며 인도 사람들의 지위 향상을 위해 힘썼다.
어린 시절, 간디는 힌두교에서 금하는 고기를 몰래 먹기도 하고, 남의 돈을 훔친 일도 있었다. 어느 날, 간디가 자기의 잘못을 글로 써서 아버지에게 드리자, 아버지는 뜻밖에도 눈물을 흘리며 간디를 용서해 주었다. 그날 아버지가 흘린 눈물은 간디에게 사랑의 힘을 일깨워 주었고, 그것은 뒷날 간디가 주장한 비폭력 정신의 바탕이 되었던 것이다.
간디의 사티아그라하 운동은 남아프리카에서 시작되었다. 그 무렵, 영국 사람들이 다스리던 남아프리카는 인종 차별이 매우 심한 상태였다. 간디는 남아프리카에 사는 인도 사람들을 노예처럼 만들려는 남아프리카 정부의 ‘아시아인 등록법’에 맞서 끈질기게 싸운 끝에, 마침내 승리를 거둔다.
남아프리카에서 20년 동안이나 인도 사람들의 권리를 되찾기 위해 싸운 간디는, 인도로 돌아와 본격적으로 독립 운동을 이끌어 나간다. 그는 인도 옷을 입고 손수 물레를 돌리며 영국에 대한 비협조 운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영국이 만든 ‘소금법’에 반대하여 벌인 ‘소금 행진’은, 인도 국민들에게 스스로의 힘으로 독립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 주었다. 간디를 비롯한 수많은 사람들이 감옥에 갇히고 피를 흘린 대가로 마침내 인도는 독립을 이룬다. 그러나 그것은 두 쪽으로 갈라진 독립이었다. 간디는 갈라진 나라를 통일하기 위해 단식까지 감행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한 채, 한 힌두교도 청년의 총에 맞아 세상을 떠나고 만다.독립운동의 중심을 이루었던 간디의 사상은 ‘실천·비폭력·불복종’으로 집약된다. 이는 간디주의(Gandhiism)라는 용어로 지칭되기도 한다. 이는 간디가 반영항쟁 때 주장한 불복종·비협력·비폭력주의적 무저항주의를 뜻한다. 간디는 사티아그라하(진리파악), 브라흐마차랴(자기정화), 아힌사(무상해)의 3가지를 내세우고, 나아가 이것에 스와라지(swaraj : 자치)를 결부시켜 비폭력·비협력의 독립운동을 전개해 나간다. 베옷을 입고 염소젖을 마시며, 직접 물레를 돌려 실을 잣고 천을 짜면서 민중을 지도한 간디의 모습은 이와 같은 독특한 사상의 실천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간디의 생애와 사상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2007. 12. 15., 한림학사)]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싸땨그라하 (진리 파지)
간디의 사상은 이 싸땨그라하라는 말로 표현할 수 있음. 싸땨그라하는 '진리 파지', 즉 진리를 깨닫는다는 의미. 독실한 힌두교도였던 간디는 이 진리라는 것을 신이라고 생각하였으므로 싸땨그라하를 간디의 사상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음. 그는 싸땨(진리)를 무척 중요하게 생각하여 '신이 진리다.'라는 말보다는 '진리가 신이다.'라고 하는 것이 더 적당한 표현이라고 했음. 또한 간디는 수단과 목적을 동일시 하였음. 즉, 진리를 실행하는 것(수단)으로 신을 만날 수가 있고 바로 신(목적)이라는 것은 진리를 의미하므로, 수단과 목적이 모두 진리가 되는 것으로 여김. 싸땨그라하는 바로 인도 독립운동의 기술로 사용되었으며, 이때 가장 중요한 원칙은 아힘사(비폭력)이였다.
간디는 아힘사의 방법으로만 진리, 즉 신을 만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항상 이 아힘사를 고수하였다. 즉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완벽한 진리를 깨달을 수는 없고, 완벽한 진리를 깨닫기 위해서는 이 아힘사라는 힘을 빌려야 한다고 한 것이다. 아힘사는 인도의 종교인 힌두교, 불교 , 자이나교의 기본적인 원칙으로 단순히 남을 해하지 않는다는 수동적인 의미보다는 남에게 사랑을 베푼다는 적극적인 의미를 뜻한다. 그래서 간디는 아힘사란 말과 사랑이라는 말을 동일시하였다.
또한 사땨그라하를 펼침에 있어서 타인이 고통받는 만큼 자신도 고통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자기고통; Self-Suffering) 자기 스스로 당하는 고통을 비폭력의 본질이라고 생각했고, 이러한 고통은 자신이 힘이 없어서 당하는 것이 아닌 폭력을 충분히 휘두를 능력이 있음에도 고통을 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아스떼야 (도둑질을 하지 않음)
간디는 진리로의 길을 가로막는 것의 하나로 도둑질을 들었다. 즉 간디는 도둑질하지 않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따라서 간디는 손일을 직업적으로 하지 않는 사람들도 어느 정도의 일은 해야한다고 생각했어요. 그것이 바로 브레드 레이버(Bread-Labor)이다. 그가 장려한 물레질은 정치적 경제적 이유도 있지만 이러한 이유도 가지고 있었다. 어쩌면 물레질은 정치적, 경제적 이유보다는 이러한 종교적 도덕적 이유가 더 크다고 할 수도 있겠다.
(3) 아빠리그라하 (무소유)
무소유는 말 그대로 소유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단순히 집, 음식, 옷 같은 물질적인 것에 대한 무소유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힌두 사상에 의하면 인간의 육신은 까르마(업)의 결과이기 때문에 인간의 육신조차 무소유해야 한다는 것이 간디의 생각이었기 때문에 육체의 욕망은 모두 버려야 하며, 육체는 사회를 위해 봉사하는데 사용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무소유는 일반인으로서는 무척 지키기 어려운 것으로 보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자신이 소유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간디는 영국 유학을 다녀온 엘리트이지만 인도국민에 대한 지극한 사랑을 실천한 영적 지도자였습니다. 그는 많은 인도인들이 아프리카에서 노예와 같은 생활을 하는 모습을 보고 충격과 깨달음을 받고 인도에서 비폭력 평화운동을 펼칩니다.
그는 스와라지 스와데시 운동을 실천하고 퍼트리는데 식민지적 삶에 변화를 추구한 것입니다. 인도인의 자치권과 국산품애용을 주창한 것인데요. 인도인의 삶을 부분적이나마 인도인이 결정할수 있게 하자는 것입니다. 이는 완전독립을 주장한 것은 아닙니다. 또한 식민지적 경제생활에 변화를 주고자 영국산 공장에서 만들어진 면직물 대신 직접 인도인이 만든 물건을 이용하자고 하였습니다. 스스로 물레를 돌리는 간디의 모습은 굉장히 유명하지요. 이렇게 하여 식민지 굴레적 삶에서 독립적 삶으로 바꿔기기를 원했으며 실천하였습니다.
또한 간디는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비무장 비폭력 평화운동을 주장하였습니다. 당시 영국 군사력을 당해낼 수가 없는 상황에서 어쩌면 종교적 수단을 채택한 것인데요. 탱크를 막아서는 시민의 모습, 이것이 울림을 주고 국제적 반향을 줄 수 있는 큰 힘이 있는 것이지요.
이와 비슷하게 3.1운동 역시 비폭력 평화운동으로서 국제적 반향과 울림을 일으켰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간디의 비폭력 사상의 배경은 그의 힌두교 신앙의 영향 때문이었습니다. 간디는 존경받던 바이샤 가문에 속했고, 신앙적으로는 비쉬누를 신봉한 바이쉬나바였습니다. 간디는 그의 어머니로부터 힌두 사상의 덕목 중에 비폭력, 금욕 생활, 무소유를 훈련받았습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