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해당과정의 pgal 인산화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강의를 보니 탈수소효소 nad+를 사용한다는 설명 이후 바로 인산기가 하나 더붙어 탄소 세개에 인산기 두개 구조가 되던데 어떻게 된걸까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NA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는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코엔자임입니다. 주로 산화환원 반응에서 전자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작용하며, 이 과정에서 NAD+는 하이드라이드 이온(H- : 수소 원자와 함께 2개의 전자를 포함한 형태)을 받아들여 NADH로 변합니다.
여기서 언급하신 '탈수소효소'란 특정 물질에서 수소를 제거하는 효소를 말합니다. 이 과정에서 NAD+가 사용되며, 탈수소효소에 의해 물질로부터 떼어진 수소(전자와 프로톤을 동반한 형태) 중 하나의 프로톤은 용액으로 방출되고, 나머지 하나의 프로톤과 2개의 전자(하이드라이드 이온)는 NAD+에게 전달됩니다. 따라서 NAD+는 탄소 세 개에 인산기 두 개 구조인 NADH와 추가적인 H+(=탄산수화물 이온)으로 변환됩니다.
즉, "인산기가 하나 더 붙은다"는 표현은 아마도 이렇게 NADH와 H+ 형태가 되면서 발생하는 변화를 설명하려는 것일 것입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NAD+는 수소 이온을 받아들여 NADH로 환원되는 과정에서 인산기가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NADH가 다른 반응에 참여하면서 수소 이온을 방출하고 NAD+로 재생되는 과정에서 인산기가 분리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