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잘생긴개미새56
잘생긴개미새5622.01.02

우주공간에 물체가 떠다니면 왜 얼어버리나요?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에서 우주복이 부서지면 사람이 얼어버리는 연출을 많이 본거 같습니다.

실제론 왜 그런지 모르겠어요

우주공간에 있으면 영하 몇백도라고 들은거 같지만.

공기와 물질이 없어서 전달이 안될꺼 같은데

왜 순식간에 얼어버리는 연출을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장용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온도는 영하 270도 입니다. 우주 공간은 진공에 가깝기 때문에 열을 전달할 매질이 없어서 낮은 온도에 몸이 얼지 않습니다. 우주공간에서는 복사에 의한 열만 이동이 가능한데 매우 느리게 이루어 지기 때문에 순식간에 어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영화에서는 우주에서 우주복이 부서지면서 사람이 죽는다는 것을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자극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표현하려는 방법으로 얼어버리는것을 채택했지 않나 싶습니다.

    실제로는 질식으로 죽게 될 것인데 영화에 어울리게 각색했지 않나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우주 외부의 기온은 평균적으로 영하 270도에 달하는 극저온입니다. 그러나 이는 지구의 기온과는 다름을 아셔야 합니다. 지구는 대류, 전도가 일어나지만 우주에서는 진공 상태로 복사로만 열의 방출이 일어나게 됩니다.

    복사는 전도와 대류에 비해서 매우 느린 속도로 일어나기 때문에 인간의 몸에서 우주 공간으로 빠져나가면 열 방출도 매우 느린 속도로 일어납니다. 인간이 추위를 느끼는 것은 외부의 기온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몸에서 얼마나 열이 방출되느냐가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즉 SF 영화와 달리 우주공간에서는 이러한 열 방출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동일 온도에서의 지구와 달리 천천히 추위를 느끼게 되며 바로 동사하지 않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온도는 평균 -270도 정도로 확인되지만, 영화나 애니메이선처럼 순식간에 물체가 얼지는 않습니다.

    지구에서는 대류, 전도가 발생 가능하지만 우주는 진공상태이므로, 열의 복사만 이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주에 비해 높은 온도를 갖는 물체나 인간의 경우에는 외부로 복사에 의한 열의 방출이 굉장히 느리게 이뤄집니다!


  • 안녕하세요. 복선정 약사입니다.

    열이 전달되는 방법에는 전도, 대류, 복사가 있는데 우주공간에서는 대류와 전도는 공기 및 물질이 없어서 일어나지 않지만 복사를 통해 신체에서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