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6.15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근거는 무엇이 있나요?

4세기에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통치했다는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근거는 무엇들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그 근거는 신빙성이 있나요?

반박할 수 있는 근거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나일본부설에 대한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본서기, 광개토대왕비, 남조, 송, 제, 양나라의 역사기록, 이소노카미신궁의 칠지도에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진구황후가 보낸 왜군이 369년 한반도에 건너와 7국과 4읍을 점령하였고, 그뒤 임나에 일본부가 설치되었으며, 562년 신라에 멸망하였다고 합니다.

    일본의 주장은 369년부터 562년까지 약 200년간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으며 중심기관이 가야에 두어진 임나일본부라는 것입니다.

    광개토대왕비도 그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거론되었습니다. 비문의 신묘년(391년) 기사를 "왜가 바다를 건너와 백제와 임나·신라 등을 격파하고 신민으로 삼았다"고 해석하여, 당시 왜국의 한반도 남부 지배를 알려주는 결정적 증거라고 주장하였습니다.
    한편 남조·송·제·양 나라의 역사기록에 나오는 왜왕의 책봉기사도 들고 있다. 여기에는 왜왕이 "왜백제신라임나진한모한제군사왜국왕"이라는 관작을 인정해줄 것을 요청하였고, 송에서는 백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 대한 왜의 지배권을 인정하는 듯한 칭호를 내린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소노카미신궁의 칠지도도 왜의 군사적 우세와 한반도 남부 지배를 인정한 '번국' 백제가 야마토조정에 바친 것으로 해석되었다.

    임나일본부의 명칭은 일본서기 6세기 전반의 기록에도 빈번히 나타나지만

    대한민국의 기록에는 전혀 나오지 않는 것으로 보아 존재 여부조차 의심이 된다고 합니다.

    출처: 두산백과 두피디아 임나일본부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장경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이란 4세기~6세기에 왜국이 한반도 남부의 임나(가야)지역에 통치기구를 세워 백제, 신라, 가야를 지배하고, 특히 가야에는 일본부라는 기관을 두어 6세기 중엽까지 직접 지배하였다는 설을 말한다.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고 그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날조한 식민사관의 하나다. 남선경영론(南鮮經營論) 혹은 줄여서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라고도 한다. 일본인 학자 스에마쓰 야스카즈가 주장했다.

    임나(任那)는 삼국사기 강수전의 '임나가량(任那加良)'이나 진경(眞鏡)대사 탑비에 쓰여진 '임나왕족(任那王族)인 흥무대왕 김유신'에서도 쓰고 있는 말로, 임나는 가야 연맹체의 중심이었던 가락국의 별칭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은 광개토대왕릉비에서 비롯됐다. 고구려 장수왕이 414년 자신의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정복 사업과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현재의 중국 지린성 지안현 통구 지역에 광개토대왕릉비를 세웠다. 일본은 바로 이 비석의 비문 가운데‘신묘년 기사’를 근거로 하여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한다. < 신묘년에 왜가 바다를 건너와 백제와 신라를 정복하고 신민으로 삼았다 >는 것이다.

    1883년 일본 육군 참모본보의 밀정인 포병 대위 사코가게아키(酒勾景信)는 옛 고구려 국내성 터였던 지리성 지안현에서 광개토대왕비의 묵본(墨本)을 입수한다. 사코가 가져온 묵본은 곧바로 일본군 참모본부에서 비밀리에 해독 작업이 진행된다.

    1884년에 2권의 책으로 정리되어 나왔다. 광개토대왕릉비는 이렇게 해서 1500년 만에 세상에 다시 나오게 되었다. 광개토대왕릉비를 일본으로 갖고 오면서 비문의 내용이 알려지자 일본 학자들은 몹시도 열광했다. 일본 실증사학의 시조로 유명한 시라토리구라키치(白鳥庫吉)는 "이 비석을 일본에 가지고 와서 박물관이나 공원에 세우자"며 광개토대왕릉비의 반출을 제안하기도 했다.

    일본 군부는 실제로 비석을 일본으로 옮기려고 했다. 도대체 왜 일본 학자들은 남의 나라 비석에 이토록 열광했던 것일까. 이 비석에는 이른바 '임나일본부설'의 결정적 증거가 될 만 한 내용이 실려 있었기 때문이다.

    < 일본서기 >에 따르면 4세기 신공황후가 바다를 건너 한반도 남부지역에 진출하여 가야와 백제, 신라를 지배한다. 특히 가야(즉 '임나')에 '일본부'라는 기관을 두어 6세기 중엽까지 직접 지배했다는 얘기다. 이를 근거로 19세기 일본의 일부 역사학자들은 일본의 한반도 침략과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고자 했던 것이다.

    일본이 난감한 것은 이토록 중요한 역사적 기록이 자기네들의 역사책인 < 일본서기 >에만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당사자인 한국 측의 역사 기록인 < 삼국사기 >에는 '임나일본부'는 커녕 '임나'라는 말조차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물론 중국 기록에도 없다.

    그런데 바로 만주에서 발견한 광개토대왕릉비에 뜻밖에도 임나일본부설을 증명하는 결정적 기록이 나온다. 바로 유명한 신묘년 기사이다. < 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羅以爲臣民-왜가 신묘년(391년)에 바다를 건너 와서 백제, 임나, 신라를 쳐부수고 신민으로 삼았다 > < 일본서기 >의 신공황후 기사와 거의 일치하는 내용이다. 광개토대왕릉비는 일본 학자들에게는 임나일본부를 증명하는 가장 유력한 자료였다.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반론을 제기한 사람은 1930년대 말 민족주의 사학자인 정인보였다. 그는 광개토대왕릉비는 고구려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칭송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니만큼 신묘년 기사의 '도해파(渡海破)'의 주어는 '왜'가 아니라 고구려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왜가 신묘년에 왔으므로, (고구려)가 바다를 건너가 왜를 깨뜨리고 백제와 □□ 신라를 신민으로 삼았다"고 해석하여 일본 학자들과는 다른 견해를 제시했다. 1972년에는 재일동포 사학자인 이진희는 일명 '석회 도포설'을 주장했다. 처음 비문을 연구하는 과정에 일본 육군 참모본부가 깊숙이 개입했었다는 점을 근거로 참모본부가 '탁본'을 바꿔치기 하고 심지어 광개토왕 비문에 석회를 발라 글자를 변조하기까지 했다는 것이다.

    그 뒤 1984년 중국인 학자 왕젠췬(王建群)가 비문에 대한 정밀 조사를 하여 잘못 읽은 부분들을 시정하고 탈락된 문자를 복원했다. 그는 탁본은 손으로 하는 만큼 각 판본마다 조금씩 달라지는 것은 필연적이라고 했다. 그리고 일본군 참모본부의 석회도포 작전은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한편 임나는 이미 5∼6세기부터 기록에 등장한다. 반면 정작 일본(日本)이라는 명칭은 7세기 중엽 이후 만들어졌다. 허구일 가능성이 큰 것이다.


    출처: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은 허구인가-새만금일보 - http://www.smgnews.co.kr/152144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근거 중 핵심적인 것이 고사기 일부와 일본서기에 적힌 내용으로 일본 서기에 의하면 진구황후는 320년 즈음 신라를 복속시키고 369년 왜군을 보내 초고왕과 함께 7국과 4읍을 점령했다고 하며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이 사건을 통해 임나 즉 가야에 일본부가 설치 되었으며 562년 신라에 멸망했다고 합니다.

    즉 일본은 369년부터 562년까지 약 200년간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으며 중심기관이 가야에 두어진 임나일본부라는 것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