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우람한스컹크183
우람한스컹크18323.08.23

일본이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는 근거가있나요?

일본이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는 근거에 자신들이 만든 역사연대도 전혀맞지않아서 위서논란이 있는 역사서 이외에 증거라고 할 만한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나일본부설의 역사적인 근거가 궁금하군요.

    일본 관학자들을 중심으로 고대의 왜가 한반도 남부지역을 2세기에 걸쳐 경영하였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이 설의 근거는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임나일본부'라는 표현이라고 합니다.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는 논자들은 임나일본부라는 어휘를 임나, 즉 가야를 경영하기 위해 만들어진 일본의 통치기구라고 해석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서기는 720년 편찬된 책으로 이 책에 의하면 신공황후가 보낸 왜군이 369년 한반도에 건너와 7국과 4읍을 점령, 그 후 임나에 일본부가 설치되었으며 562년 임나가 신라에 의해 멸망한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신공황후가 정벌한 7국의 지명을 고증한 결과 그곳이 당시의 가야지역이었으며 따라서 임나는 가야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주장,

    칠지도는 일본의 이소노카미 신중에 보관되어있던 것으로 1873년 신궁의 다이쿠우시인 간 마사모토가 칼에 새겨진 금상감 기법의 글자들을 해석해 고대 도검류 유물인 칠지도가 백제에서 왜 왕실에 헌상했다는 일본서기 신공기 52년 기사에 나오는 바로 그 칠지도라 주장

    1883년 일본 사학자들은 중국 지안에 있는 광개토대왕 비문에서 왜이신묘년래도해파백잔라 이위신민을 발견하고 이를 왜가 신묘년에 바다를 건너와서 백제와 신라를 격파하고 신민으로 삼았다고 해석해 일본서기에 나온 임나일본부설을 뒷받침하는 자료라 주장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나일본설은 여러가지 설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 일본에서 고대 강국임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임나는 우리나라가 일본을 지배했던 것입니다.

    우선 고조선시대에는 지나(중국)과 일본도 지배했었는데, 이후 준왕이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일본과의 관계를 지속하여 왔던것같습니다.

    즉 일본이 한반도에 있었던것이 아니라 준왕의 자손이 일본을 필요할때 군사를 요청하여 빈번한 왕래가 있었던것입니다. 얼마전에 전남나주 반남고분군이 증거가 될 수있는데, 일본은 이고문을 연구하여 역사 고찰을 하다가 어느순간 손을 놓아버립니다.

    결국 일본이 한반도의 일부를 지배한것이 아니라 우리의 조상의 한부류(준왕의 후손, 즉마한)가 일본을 재배했다는 증거들 밖에 없었기 때문이지요.

    그이후 백제로 통합되게 됩니다. 이후 일본은 백제와 왕래를 하게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나일본부설의 근거로 들어지는 사료로는 크게 391년 광개토왕릉비 신묘년 기사, 《일본서기》에 진구 황후 편에 신라와 백제가 조공을 바쳤다는 내용의 기사, 백제의 칠지도 명문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특히 8세기의 역사서 《일본서기》에 근거하여 임나일본부의 실재 여부나 그 기능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에 많은 이견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