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말끔한할미새85
말끔한할미새85

요즘 사용되는 영상이 AI를 통해서 만든건지 아니면 실제 영상인지 어떻ㄱ ㅔ판단이 가능한가요??

요즘 사용되는 영상이 AI를 통해서 만든건지 아니면 실제 영상인지 어떻ㄱ ㅔ판단이 가능한가요?? 아무리 봐도 진짜 구별하기 힘들더라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ai영상과 실제 영상과의 직관적인 비교는 사실상 화면이 깨지거나 입모양이나 영상이 부자연스럽거나 싱크가 맞지 않는등으로 확인이 가능한데 요즘은 화면에 명암이나 그림자 빛의 반사등등 실제와 완전 똑같게 구현해서 사실상 확인이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기술적으로 프레임이나 비정상적인 프레임등을 확인해서 그것을 감지해서 ai영상을 구분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최근 영상은 AI 기술로 매우 정교하게 만들어져 육안으로는 실제와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AI 생성 영상은 미세한 픽셀 불규칙 그림자 반사 이상 사람의 움직임 패턴이나 눈 깜빡임 같은 자연스러운 생리적 특징에서 차이를 찾아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최근 영상들을 보면 상당히 자연스러운 면이 많아 실제인지 AI인지 헷갈릴 정도인데요.

    기본적으로 인물의 눈꺼풀 떨림이나 그림자 방향과 광원이 이상하거나 머리카락의 물리적 움직임이 어색하거나 하는 등으로 찾아내며 AI 탐지 도구 소프트웨어 (Reality defender) 등을 이용해 색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육안상 보이는 것은 말하는 음성과 입 모양이 틀리거나 눈 깜빡임이 부자연스러운 점 또는 피부 질감이 너무 매끄러움과 그림자와 조명이 비현실적인 표현 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영상의 메타데이터를 확인하거나 딥페이크 감지 도구를 활용하여 프레임 변화 및 디지털 흔적을 분석할 수 있겠습니다. AI 영상은 주로 짧은 영상이 많으며 눈,손가락,피부 질감, 빛 반사 등이 어색하여 구별이 가능하나 점점 더 고도화로 인해 구별이 어려워지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유심히 본다면 차이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요즘은 더욱 정교해져서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육안으로 부자연스러운 신체적 특징을추적할수 있어요. 인물 영상의 경우, 손이나 손가락, 발가락의 개수나 모양이 부자연스럽게 표현되거나, 눈 깜빡임이나 시선 처리가 어색한걸 잡아내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최근 AI로 생성되는 영상은 많이 정교해져서 실제 영상과 구분이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그로인해 전문가들도 구분이 어려워하는 실상인데 인간의 관찰에 의한 분석 및 기술적 분석으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아요. 일단 관찰에 의한 분석은 부자연스러운 눈 깜빡임과 얼굴표정과 입술의 목소리가 불일치 등을 볼 수있습니다. 또 배경화면과 그림자가 어색함을 통함과 배경에서는 간판의 글자나 표지판의 어색함을 통해서 구분을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기술적 분석은 AI가 생성형 영상을 분석 및 교육을 통해 얼굴의 미세한 특징이나 노이즈를 통해 검출하고 변조 음성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또 AI 생성 영상은 만들어질때 메타데이터가 기록되는데 이를 통해서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