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성격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소는 어떤것으로 볼 수 있나요?
복합적인 것과 선천적으로 타고난 부분도 있지만, 아이의 성격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것은 무엇이 있나요? 부모의 양육환경인건지, 학교, 사회생활에서 겪게 되는 일들에 대한 본인의 대처 방식에 따라서 생기는건지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기질은 타고난 것(유전적) + 환경적요인 (후천적) 두 가지으로 인해서 나타납니다.
아이의 기질 즉 성격.성향이 부모님의 유전에 대한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성격.성향은 환경적으로 변화가 가능 합니다.
즉, 자신 스스로 나의 성격을 변화 해야겠다 라고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자신의 성격을 변화 시킬 수 있습니다.
아이가 스스로 나의 성격을 변화 해야겠다 라고 마음을 먹는 시기는 사춘기 시기 입니다.
아이가 가진 기질을 억지로 변화 시키려고 하긴 보담도 아이의 있는 기질을 그대로 존중해 주되.
사람들과 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 생각. 의견을 전달하고 제시하고 표현할 줄 알아야 됨을 인지시켜 주면서
역할극을 함께 해보며 각 상황에 적절한 행동,언어, 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 그리고 의견을 전달하고
표현하고 제시해 보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의 성격은 유전적인 기질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형성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부모의 양육 태도와 가정 환경으로,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고 사랑받는 경험이 성격의 기초가 됩니다. 이후 학교 생활과 또래 관계 속에서 사회적 기술과 자아정체성이 발달하면서 성격이 다듬어집니다. 결국 가정에서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인 경험, 아이의 타고난 기질이 균형을 이루면 건강한 성격이 형성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여러 환경(가정, 학교, 또래, 사회생활 등)에 의해 성격이 형성되는데 특히 부모의 양육방식과 가정환경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태어나면서 기질(성향)가지고 있지만 환경에 따라 성격이 바뀌기 때문에 성장하면서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가정환경에 의해 공감성, 사회성, 독립성, 자율성, 자기존중감, 문제해결능력 등 일상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대처하는 방식이 생기면서 성격이 형성되며 성장하게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 성격 형성에는 선천적 기질과 후천적 환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큰 영향은 부모의 양육환경과 초기 애착 관계로 보고 있으며 안정적, 지지적인 환경은 긍정적 성격 발달에 기여합니다. 이후 학교, 친구 관계, 사회 경험 등 외부 환경과 아이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도 성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