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인구가 감소 노령화되면 어떤 사회현상이 생길까요?

두 사람이 결혼을 해서 두명은 낳아야 하는데 합계출산율 0.7 남짓이라 여러 복합적 사회현상이겠죠. 출산지원을 하는 각종 특혜도 무색하고, 인문학적인 접근 방법이 좋을 것 같은데요. 어떤 것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의료 기술이 발달하고 생활 수준이 높은 선진국일수록 노령화의 추세가 강하다. 인구의 노령화 현상은 노동력의 부족 현상을 초래하고, 노인 복지 시설을 확충하여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어 선진국이 고민하는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한편 노령화 추세가 심화됨에 따라 노년층을 상대로 한 실버 산업이 발달하기도 한다.

    사망률의 감소로 인하여 노년층 인구가 계속 증가하는 구조 현상을 말한다.현재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하여 노년 인구 비율이 낮지만 계속 선진국의 수준으로 증가한다면 노령화 문제가 중요한 사회 문제가 될 것이다. 통계청은 2020년 예상되는 노년층 인구가 약 690만 명에 달하여 전체 인구의 10퍼센트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인구 노령화 [人口老齡化] (Basic 고교생을 위한 지리 용어사전, 2002. 2. 5., 이우평)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게 노동력 감소입니다.

    노동력이 감소되면 나라의 경제가 흔들리게 되고, 그러다보면 필연적으로 나라의재정, 안보, 문화 등 전반적으로 큰 문제가 대두될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여 경제, 사회의 활력이 저하되고, 노인 부양비가 올라가게 됨에 따라 사람들의 '노동 저항'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내가 왜 부양해야해, 일 안해) 즉,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그 나라 금융시장도 침체되어 일본처럼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입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구가 감소가 되거나 노령화가 되면 활동적으로 일하는 사람이 줄어들게 되고

    그러다 보면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처하게 되며 사람이 없으니 기업도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러다 보면 국방력은 물론 나라전체가 약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인구가 이런식으로 줄고 고령화 된다면 당연히 멸망밖에 없습니다. 일손부족에 기업이 도산하고 고령인구 연금바닥에 질병인구만 늘겠지요...

    인문학적 접근보다 무조건 아이1명당 수당을 늘리고 2명은 따블, 세명은 따따블로 묻고 가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향해 가고 있는 우리나라의 향후 예상 되는 문제점은 노인 자신은 고독, 역할상실, 빈곤, 질병 등으로 어려움 을 겪게 되고, 사회는 사회적으로 보호하고 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할 급격한 노 인인구 비율의 증가로 인해 의료비 증가, 연금고갈, 노동인력 감소, 사회복지서 비스 대상 및 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를 안게 됩니다. 국가 경제도 점점 발전이 안되고 정체 되고 많은 문제르 안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는 방법은 결국 국가가 나서서 국민들에게 양육에 관한 혜택을 제공하고 각종 세금, 교육 관련 문제도 육아를 하는데 부담이 없을 정도로 시스템을 갗춰 야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