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MinJun Kim
MinJun Kim23.03.06

출산율 저하, 인구감소가 주는 한국 문화의 변화는?

최근 한국의 출산율이 0.8이하로 떨어졌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주변을 봐도 결혼 생각이 아예 없거나,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낳아도 한명만 낳으려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이렇게 출산율이 떨어지면서, 전체인구가 감소한다면, 그리고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 문화적으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여행가면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일을 합니다.

    노령화이죠.

    우리나라도 지금보이기 시작합니다.


    출산율이 감소하면 산업생산등 모든것이 저하되어 나라의 발전이 안됩니다.

    그리고 사회자본이 충당되지 않습니다.

    노령연금등을 부담할 사람이 없어지니까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7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OECD 38개국 중 출산율이 1명 미만인 곳은 한국뿐이라고 합니다

    그에따른 변화로 학교 폐교, 생산가능인구 급감, 병역자원 감소, 급격한 고령화에 따른 국민연금 조기 고갈, 노동력 감소와 각종 비용 상승에 따른 잠재성장률 하락, 지역소멸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세대간 갈등 심화>

    저출산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인구를 부양해야 할

    세대간의 갈등이 심화될 것이다.

    생산인구는 감소하고 피 부양

    노인인구가 급증함으로써 생산가능

    인구의 노인부양비는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음 지하철에 노약자 좌석이 늘고 임산부 좌석이 줄겠죠 . 초 중 고등 학교 대신 노인 학교가 많아 질 것이고, 노인 관련 직업 일자리가 많이 생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