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척척박사 초이
척척박사 초이
24.12.17

미국 대통령 트럼프의 정책 중 관세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내년 1월부터 본격적으로 트럼프의 2기가 진행되는데 그 중 관세 정책으로 보편적으로 국가에 부여 하겠다고 합니다. 관세를 부가하면 미국 정부에 세수 수입이 들어오는거 아닌가요? 근데 왜 미국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고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관세를 높이게 되면 정부의 입장에서는 세수가 늘어나게 됩니다만, 미국 내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관세를 추가적으로 부담하고 물품을 수입하고 이를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국에서의 인플레이션 우려가 있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정부의 세수도 증가하지만 이러한 관세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되기 때문입니다. 즉, 기존의 100달러 무관세 제품이 관세포함 110불에 통관이 되면 판매가가 자연스럽게 10불이상 올라가게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관세는 수입품에 추가 비용을 부과하는 형태로 미국 정부에 세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이는 기업들이 더 높은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결국, 소비자가 더 비싼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해야 하므로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며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특히 관세가 주요 생활필수품이나 원자재에 부과될 경우 생산비 증가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소비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압박과 함께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