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목마른산양192
목마른산양19222.11.14

비둘기는 언제부터 평화의 상징이 되었나요?

버드나무가지를 물고있는 비둘기는 어떤 의미인가요?


비둘기는 전 세계에 서식하지 안을건데


왜 비둘기로 정해졌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외로운딩고197입니다.

    구글에 검색해 보았습니다.

    비둘기에 관한 설은 대체로 2가지가 있다고 하네요.


    1. 기독교의 노아의 방주와 관련한 설

    하느님이 대홍수로 세상을 심판하고, 오랜기간동안 홍수가 지속되었을 때, 노아가 홍수가 끝났는지 알 수가 없어서 이를 확인하기 위해 비둘기를 사용하였다.

    비둘기의 귀소본능(집으로 돌아오는 습성)을 이용했는데, 처음에 비둘기를 날렸을 때는 비둘기가 그냥 돌아오고 몇 일이 지나 두번째 비둘기를 날렸을 때는 올리브 나뭇가지를 가져왔고 세번째 날려 보냈을 때는 돌아오지 않았는데

    나뭇가지를 가져온 것은 홍수가 끝나고 육지가 나왔다는 의미를 가지며, 이는 재앙이 끝나고 희망을 가져 왔다는 의미에서 평화의 상징이 되었다는 이야기


    2. 연합군 이사회의 심볼과 관련된 설

    세계 2차대전에서 이긴 연합군이 추축군 처리를 위해 여러 이사회를 개최하였는데, 여러 가지를 제정하는 과정에서 맹활약을 한 통신용 비둘기를 심볼로 그려넣었고, UN이 일을 넘겨받고 평화가 목적으로 바뀌면서 연합군 이사회 심볼인 비둘기가 평화의 심볼이 되었다는 이야기

    번외로 중국에서도 비둘기가 안정, 평안, 화평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쓰임


    특히 한겨레 신문 내용에는 비둘기가 평화의 상징이라고 느끼는 한국인의 사고가 보편적이지만은 않다고 기술되어있네요.


    https://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85777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