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클래식한캥거루46
클래식한캥거루4623.02.20

초저녁 하늘에 유난히 반짝이는 별의 정체가 뭔가요?

일몰후 초저녁에 유난히 반짝이는 별이 있는데 무슨별인가요?

금성이라는 사람도있고 화성이라는 사람도 있는데 그 별의 정체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1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저녁 하늘에 유난히 반짝이는 것으로는 여러가지 있으나, 보통 금성이거나 인공위성일 확률이 높습니다.

    금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태양이 지평선 밑으로 지나가고 나면, 태양에 비추는 금성의 빛이 주변 어두운 하늘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방향이 어느 쪽이실진 모르나 2월 이쯤 초저녁 빚나는 별은 아마 화성일거 같습니다. 화성은 초저녁 서쪽 하늘에 머물러 있습니다. 해가 진 방향 바로 위에 오렌지 색으로 빛나는 별을 보게 된다면 화성입니다. 2월 말경 화성보다 아래, 거의 지평선 위로 수성(Mercury)이 보일 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몰 후 초저녁에 제일먼저 반짝이는 별은 사실 별(항성)이 아니라 금성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저녁 서쪽하늘에서 반짝이는 별을 보셨다면 금성을 보신 것 같습니다 많은분들이 인공위성으로 착각하시기도 할 만큼 밝은 이 별의 정체는 태양으로부터 온 빛을 반사하여 별처럼 보이는 금성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밝은 별이란건 주간적이긴 하지만 대표적인 밝은 별은 sirius, canopus, vera, rigel 등이 있습니다.

    이는 지구가 공전하는 상황 즉 거리에 따라서 크기와 그리고 빛의 대기권에 굴절되는 현상 등에 따라서 색 등이 다르게 보일 순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서쪽하늘이라면 목성과 금성이 아닐까합니다

    보통 가장 밝게보이는 별을 북극성이라고 생각하곤하는데 사실 북극성은 도심에서 그렇게 밝게보이는 별은 아닙니다.

    물론 북극성도 충분히 밝은 별이지만 2등급대인 북극성과 달리 목성과 금성은 마이너스 대로 북극성보다 더 잘보입니다.

    목성보단 금성이 더 크고 반짝입니다.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저녁에 빛나는 별은 목성과 금성입니다

    아래 그림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ㅎㅎㅎㅎ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느 위치 어느 시간에 별을 관측하냐에 따라 화성 금성 목성 등 관측이 달라 집니다.

    금성은 저녁 8시경이면 이미 서쪽하늘로 넘어가 버립니다.

    그 다음 후보로는 목성도 있는데 목성은 저녁 8시경이면 남서쪽 하늘에 비교적 낮게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 밤하늘에서 초저녁에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은 행성인 금성(Venus)입니다. 금성은 태양계 내에서 지구의 내부를 공전하면서 태양에 가까이 위치하게 되어 초저녁 시간대에는 서쪽 지평선 근처에서 매우 밝게 빛납니다. 때문에 금성은 초저녁의 별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금성은 별이 아니라 행성이므로, 다른 별들과는 구별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저녁이나 새벽에 아주 발게 빛나는 별은 대부분 금성일 확률이 큽니다

    금성은 지구와 가깝기 때문에 다른 별보다 밝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