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청일전쟁 후 명성황후 민씨 시해사건과 단발령의 강제시행에 분격한 유생들이 근왕창의(勤王倡義)의 기치 아래 친일내각의 타도와 일본세력의 구축을 목표로 일으켰습니다. 1895년(고종 32) 8월 20일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뒤이어 왕후폐위조칙이 발표되자, 보수유생들은 ‘토역소(討逆疏)’ 등을 바쳐 친일정부의 폐위조처에 반대함은 물론, 일본군을 토벌, 구축하여 국모의 원수를 갚을 것을 주장주장습니다. 8월 22일 서울 창의소(倡義所)에는 고시문이 나붙기 시작하고, 10월 중순을 전후로 충청남도 회덕 · 유성 · 진잠 등지에서는 문석봉 등이 토적(討賊)의 뜻을 선포하고 의병을 일으켰습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친일정권이 공포, 시행한 단발령은 유생들과 일반백성의 반일 · 반정부 기운을 더욱 고조시켰습니다. 1896년 1월 중순 경기 · 충청 · 강원도 등 각 지에서 본격적으로 일어난 의병항쟁은, 2월 상순에는 경상도 북부와 강원도 북부, 그리고 함경도 북부까지 확대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