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푸른눈테해오라기05
푸른눈테해오라기05

반려동물이 특정 음식이나 환경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반려동물 종류
강아지

반려동물이 특정 음식이나 환경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알레르기 반응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이나 예방 조치는 무엇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사람과 동물 모두 특정 대상에 대한 알레르기의 근본적인 치료는 감작치료입니다. 즉, 알레르기원을 소량부터 대량까지, 지속적으로 노출시키면서 이 대상에 대해 과도한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못하게 하는 것이긴 합니다만, 문제는 이 감작치료가 알레르기 유발원의 종류, 그리고 강아지의 면역력에 따라 얼마나 오래걸릴 지 예상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은 알레르기 유발원으로 의심되는 물체를 아예 사전에 차단하는 방법을 더 많이 쓰고 있지요. 즉, 알레르기가 의심되는 음식이나 물건을 강아지로부터 격리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 방법이긴 합니다. 다만 집먼지진드기 등 알레르기원이지만 일상에서 완전 차단이 불가능한 알레르기원의 경우는, 위에 말한 감작반응이 자연스럽게 나타나기에 시간이 지나면서 조금씩 해당 알레르기원에 대한 반응이 완화되긴 합니다만, 만일 간지러움이나 발적 등 증상이 너무 급격하게 나타난다면 이 땐, 동물병원에서 급성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습니다. 즉, 알레르기를 관리하는 방법은 가정에서 확인되는 알레르기원을 피하고, 만약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동물병원에 내원하는 것입니다. 다만, 알레르기로 의심되는 피부증상이 아예 시간과 장소를 구분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알레르기 외 다른 자가면역질환이나 만성아토피일 수 있으니, 이 경우에도 동물병원에서 진료 후 처치를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보호자가 해야 할 핵심적인 의학적 역할은 알러지 반응을 보이는 동물을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동물병원으로 이송하는 앰뷸런스 역할입니다. 자기 소임에 충실하시는게 환자를 위한 최선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일단 그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음식이나 특정 물건을 폐기하셔야 합니다. 또한, 심할 경우 동물 병원에 가서서 항히스타민제 처방이나 관련 처치를 받으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