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뛰어난두루미110
뛰어난두루미11021.10.26

평상시 기관지 목 소리를 많이씁니다 목에좋은좋은생활습관 이 잇을까요?

직업상 큰소리로 말을합니다

늘목이잠겨있고 목에 이물감이 느껴져 헛기침이나 코인지가래 인지 뱉는습관이 이씁니다 일상생활에서 친구들과 대화시 대답만하고 있어도 목이 피곤하고 아픔니다

감기가 걸려도 목리랑 코로 먼저오고 .

말을 안하고 살수도 없고 평상시 목에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큰소리로 자주말을 하거나 한다면 성대결절의 가능성이 높아요

    성대결절은 지속적인 음성의 남용, 무리한 발성으로 인해 성대에 결절(성대 점막의 좁쌀만 한 크기의 작은 혹)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이는 6~7세 남자 어린이, 30대 초반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가수, 교사 등과 같은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 흔하게 나타납니다.

    치료방법으로는

    ① 가습

    성대 점막의 윤활 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충분히 가습해야 합니다.

    ② 보존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는 성대 안정, 음성 치료, 인후두 역류 질환 치료가 있습니다. 음성 치료를 통해 80% 이상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음성 치료에는 주로 침묵 요법(말을 하지 않고 속삭이거나 글씨를 써서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초기의 성대 결절은 음성 치료로 호전되지만, 만성적인 성대 결절은 음성 치료만으로 치료하기 어렵습니다.

    ③ 수술적 치료

    최소 3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음성 장애가 있는 경우에 수술을 시행합니다. 다만 직업상 음성 휴식을 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조기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의 종류에는 겸자, CO2, 레이저를 이용한 후두 미세 수술, 미세 피판법이 있습니다. 제거된 결절 부위의 점막을 재생시키기 위해 수술 후 음성을 휴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말을 많이 한다고 해도 발성이 괜찮다면 별로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조금만 말을 해도 목이 아프고 잠긴다면 일단 성대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발성을 교정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듯 합니다. 평소에는 물을 자주 드시는 것이 습도를 조절해줘서 도움은 되지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27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성대결절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후두경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대결절은 음성을 너무 무리하게 사용하거나 잘못된 습관으로 사용해 성대에 생길 수 있는 일종의 굳은 살입니다. 치료는 우선 음성습관을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병원에서는 음성치료를 시행하여 도움을 줍니다. 대개 음성치료만으로 대부분 병변이 호전되며 만약 계속 병변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는 후두미세수술을 하여 병변만 정밀하게 제거하여 치료합니다. 일종의 습관과 관련된 병이므로 환자분이 목을 지나치게 혹사하지 않는 것이 치료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이비인후과에서 진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무래도 해당 부위에 온찜질을 자주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혈액이 잘 통하게 하여 불편한 성대 부분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