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관은 당대 사회와 어떤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톨스토이의 작품에 나타나는 여성관은 당대 사회와 어떤 관련이 있으며 현대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톨스토이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관은 당대 러시아의 가부장적 사회구조와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19세기 러시아에서는 여성이 가정과 결혼에 종속된 존재로 여겨졌으며 톨스토이도 작품 속에서 이를 반영했습니다. 전쟁과 평화의 나타샤 로스토바는 전통적인 이상적 여성상으로 묘사되지만 안나 카레니나의 안나는 사회적 규범을 거스른 대가로 비극적 결말을 맞습니다. 이는 당시 부덕한 여성에 대한 처벌적 시각을 반영한 것입니다. 톨스토이는 후기 작품에서 여성 해방과 사회적 불평등을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부활의 카츄샤를 통해 사회적 편견과 도덕적 억압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명하며 기존 질서를 비판했습니다. 결국 톨스토이의 여성관은 당시의 보수적 가치관을 반영하면서도 사회적 문제를 고발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 역시나 대작가 답게 사회의 Micro적인 현상을 심도있게 분석했으며, 러시아제국 말기의 황혼 (Twilight of the Empire)과 같은 사회처럼, 복잡하게 얽혀나가며 그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Anna Karenina의 여성상이라던지, 또한 사회의 음지가 만연하고 이것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왜곡된 사회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여성상들을 보여주는 부활 등... 나폴레옹과의 대전쟁 승리후 유럽의 맹주로 올라갔다가 다시 내리막길과 혼돈의 길로 내려가기 일보직전의 러시아사회상에 대한, 그 속에 속한 사회구성원들의 고뇌와 갈등, 및 그 극복과정의 모습 등을 총체적으로 그려주었고, 이는 경쟁이라는 한마디로 정의되는 현대사회에서도 많은 시사점이 있는 점이라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