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특출난왜가리83
특출난왜가리8322.08.20

암호화폐의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느껴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주식의 급등락도 자주 볼 수 있지만, 암호화폐의 급등락이 더 잦은 것 같다고 생각됩니다.

암호화폐가 더 잦은 급등락이 나타나는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암호화폐가 최근에 우리들에게 익숙한 단어가 되었고 투자처라고 불리고는 있지만 여전히 암호화폐에 대한 불신이 큰것이 현실입니다.

    일반적으로 변동성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외생변수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뜻입니다. 최근에 불거진 루나사태 [스테이블코인의 디페깅과 스테이블을 위한 자산이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로 이루어져 결국 페깅(달러와 코인의 1:1교환을 할수 있도록 언제나 가치를 매칭)에 실패한 사례]로 인해서 암호화폐시장에 대한 불신과 각국의 규제 움직임들이 영향을 줄 수 밖에 없었습니다.

    9시만 되면 업비트 같은 경우 아무런 호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시세조작[몇몇 코인을 임의적으로 거래소가 가진 물량으로 펌핑시키는 행위]이 의심되는 움직이도 거의 매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몇분만에 20프로 혹은 100%까지 올렸다가 몇분만에 -까지 가는것이 정상적인 거래패턴이라고는 보기 힘들겠죠

    최근에는 비트코인의 움직임이 나스닥(기술주)과 커플링 되어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탈중앙화라는 기치와는 맞지 않게 결국 기술이란 카테고리 묶여 버린것은 아닌가하는 생각도 듭니다. 이 커플링의 움직임의 정확한 근거는 없어요!

    이러한 변동성의 폭이 줄어드려면 암호화폐가 정말 탈중앙화되고 외생변수가 아닌 기술 자체에 대해서만 평가받고 가치가 인정되어야만 안정이 될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유신 AFPK입니다.

    국내 주식 시장의 경우 가격의 급등에 따른 여러가지 제한장치들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하루 상하한이 30%로 제한되어있다거나, VI가 발동된다거나 말이죠.

    또한, 장이 열리는 시간이 정해져있어, 일정 시간에만 주식이 거래가능합니다.

    하지만, 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의 경우

    1. 24시간 시장

    2. 가격 급등락에 따른 제한 없음

    과 같은 이유로 급등락이 발생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주식은 하루 09시부터 15시 30분까지가 정규시장입니다. 영업일기준으로 운영이됩니다..하지만 코인시장은 1년 365일 24시간 운영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민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암호화폐는 365일 24시간 열려있기 때문에 주식시장이 마감되었을 때에도 계속 변동이 생깁니다. 그렇기 때문에 체감상 급등락이 더 잦다고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암호화폐와 같은 경우 현재 제도권 밖에 상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며 현재 투자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나 투기적인 요소도 상당하며

    하루 24시간 거래되는 등 하여 잦은 급등락이 보이는 것이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