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Jy천사1004
Jy천사100423.09.11

암행어사는 언제부터 생겨났는지?

안녕하세요 조선시대에 암행어사라는 제도가 있었던것으로 아는데요 지금으로치면 비밀경찰 같은건지 아니면 국정원? 이 제도는 언제부터 생긴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1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392년(태조 1) 의주 등 국경지역의 불법적인 월강무역을 금지시키기 위해서 조선시대 최초로 행대어사를 분견한 사례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암행어사의 하는일은

    1 .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마을주민의 불편한내용이나 억울한 내용을 해결하구요

    2 . 양반이나 사또들의 부정부패를 못하게 하는 일을하구요

    3 . 몰래 돌아다니며 지역 소식을 임금에게 알려 주는일을 합니다

    그리구요 말이 4마리가 그려진 마패라는것을 가지고 다닙니다

    지금의 신분증 입니다.

    경찰과 비슷한 역할이네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암행어사는 지금의 대한민국 감사원에 있는 공직감찰본부, 기동감찰을 맡는 특별조사국, 대통령 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예하 공직기강비서관과 반부패비서관이 지휘하는 특별감찰반, 국무총리 보좌기관인 국무조정실의 공직복무관리관이 운영하는 공직기강조사팀 입니다.

    암행어사라는 말이 처음 쓰인것은 명종 5년인 1555년이지만 최초 실질적 암행어사는 중종 4년인 1509년부터 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암행어사라는 말이 처음 쓰인 것은 명종 5년인 1555년이지만 최초의 실질적 암행어사는 중종 4년인 1509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암행어사는 주로 당하관 관리 가운데 왕이 임의로 추생(抽牲 : 임의로 추첨하는 것)하여 임명했지만, 당상관을 암행어사로 임명하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또한 전기에는 좀처럼 볼 수 없었던 암행어사가 후기에는 일반화되었다. 이 제도는 1892년(고종 29) 전라도 암행어사인 이면상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암행어사가 임명받은 지방에 도착하면 지방행정을 살피기 위해 변복하고 지방을 관찰하였다. 그렇게 염탐을 마치면 고을에 들어가 관가의 대청에 올라 공문서와 관가 창고를 검열하였는데, 이를 출도라고 하였다. 암행어사가 출도할 때는 역졸이 마패를 손에 들고 “암행어사 출도요”라고 크게 외쳤다. 억울한 죄인이나 재판 사례가 있으면 재심하여 해결하고 관리의 부정이나 파행이 발견되면 봉고(封庫 : 창고를 봉인함)·파직(罷黜 : 수령의 직책을 박탈함)하였다. 암행어사는 품계분류상 관찰사와 대등한 권한을 가졌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암행어사는 조선 시대에 지방의 부정과 불법을 감시하고 백성들의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 파견된 관리입니다. 암행어사는 '암행어사 출두야!'라는 말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암행어사의 기원은 고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고려 시대에는 '암행수령'이라는 직책이 있었는데, 암행수령은 지방을 순찰하며 부정을 감시하고 백성들의 고충을 해결하는 일을 담당했습니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면서 암행어사의 제도가 더욱 정비되었습니다. 태종 12년(1412년)에는 '암행어사'라는 직책이 신설되었고, 세종 12년(1430년)에는 암행어사의 권한과 임무를 규정한 '암행어사령'이 제정되었습니다.


    암행어사는 지방의 수령이나 부사, 현감 등과 달리 서울에서 파견된 관리이기 때문에 지방의 관리들이 함부로 대할 수 없었습니다. 또한, 암행어사는 '암행'이라는 이름 그대로 신분이나 출신을 감추고 지방을 순찰했기 때문에, 지방의 관리들은 암행어사가 누군지 알 수 없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암행어사는 지방의 부정과 불법을 감시하고 백성들의 고충을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암행어사의 대표적인 활약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양반들이 백성들을 착취하는 것을 막고, 백성들의 고충을 해결해 주었다.

    지방의 관리들이 부정을 저지르는 것을 적발하고 처벌했다.

    지방의 부패와 폐단을 시정하고, 지방의 행정을 개선했다.

    암행어사의 활약으로 인해 조선 시대의 지방 통치가 더욱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습니다. 암행어사는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제도 중 하나로,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