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문학

의로운벌잡이216
의로운벌잡이216
24.08.27

특이하다. 특기하다. 비슷하지만 다른 말?

평소에 자주 쓰는 말인데 참 헷갈리네요.. 특이하다. 특기하다. 비슷하지만 다른 말인가요? 예를 들어 자세히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특이하다'와 '특기하다'는 완전히 다른 말입니다.

    '특이하다'는 '보통 것이나 보통 상태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다르다'를 뜻하는 말입니다.

    '특기하다'는 '특별히 다루어 기록하다'는 뜻입니다.

    두 표현으로 문장을 써본다면,

    예를 들어 '특기할만한 사건이 발생하였다.'라고 쓴다면 이것의 뜻은 특별히 기록할만큼 의미있는 사건이 발생하였다는 뜻입니다.

    '특이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라고 쓴다면 이것의 뜻은 다른 사건과는 원인이나 결과들이 판이하게 다른 사건이 발생하였다는 뜻입니다.

    즉 '특기한'은 '특별함, 상징성, 대표성이 있어 기록할만한 필요성이 있는'이라는 뜻이고, '특이한'은 '특별하게 다른 사건들과 차이점이 있는'이라는 뜻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인옥 전문가입니다.

    우리말에 ‘특이하다’와 ‘특기하다’는 비슷해 보이지만 다릅니다.

    ‘특이(特異)하다’란 말은 형용사로 보통 것과는 특별히 다르다는 뜻이고 ‘특기(特記)하다’는 동사로 특별히 기록한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면 다른 사람보다 훨씬 나은 재능이 있는 경우에는 ‘특이한 재능을 가졌다’라고 하고, 특별히 기록할 만한 것을 뜻할 때는 ‘특기할 사항’ 또는 ‘특기 사항’이라고 합니다.

    제 답변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특이하다는 '보통과 달리 두드러지게 다르다.'는 의미로, 뭔가 독특하거나 눈에 띄게 다른 것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특기하다는 '특별히 기억할 만하다.'는 뜻으로, 어떤 사건이나 상황이 중요하거나 주목할 만한 경우에 쓰입니다.

    즉 특이하다는 남들과 다른 점을 강조하고 특기하다는 기억하거나 주목할 만한 점을 나타냅니다.

    o 그 사람의 옷차림은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보니 참 특이하다.

    o 이 사건은 역사적으로 특기할 만한 중요한 순간이다.

    위의 두 문장을 비교해 보면 특이하다와 특기하다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특이하다는 우선 형용사 이고 특기 하다는 동사이기에 우선 품사에서 차이가 집니다. 특이 하다라는 말은 형용사이기 때문에 '특이할 ~'이라고 하면 옳지 않고, '특이한 체질'이나 '특이한 재주'처럼 '특이한 ~'으로 표현해야 맞고 '특기하다'라는 말은 특별히 기록한다는 뜻을 가진 동사이기 때문에 특별히 기록할 만한 것을 뜻할 때는 특기 사항으로 표기 하는 것이 맞습니다.

  • 특이特異하다= 특별하게 다르다

    특기特記하다= 특별한거 같아서 기록했다

    발음만 비슷할뿐 전혀 다른 단어 입니다.

    이런거 궁금하실땐 한자어를 검색하시는게 좋아요

  • 안녕하세요. 이태영 전문가입니다.

    "특이하다"는 형용사로, 보통과 다르게 눈에 띄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특기하다"는 동사로, 특별히 기록할 만한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