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이미지
소아청소년과의료상담
거창한에뮤121
거창한에뮤12121.05.30

자다가 코피 터지는 경우는 왜그런 건가요?

저희 첫째 아이가 12세인데 오늘 새벽에 자다가 뭐가 흐르는 듯한 느낌을 받아 일어나보니 코피가 터졌다고 합니다

어디에 부딪힌 것도 아니라는데 자다가 코피가 터진다면 이유가 무엇이고 어떻게 아이를 봐줘야 할 지 걱정입니다

의사선생님들께서 보시기엔 이같은 증상이 어떻게 보이시는지요?

어릴적부터 허약하고 잔병치레를 많이 치른 아이인 만큼

하나하나가 마음이 졸여집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들은 비강 내 점막이 약해서 코피가 나는 일이 흔합니다.코 점막이 헐어 혈관이 노출되어 있거나 혈관이 부풀어 있는 것이 보일 경우에는 약물이나 전기로 혈관을 지져서 치료하게 됩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점막이 헐어 있는 경우에는 점막이 건강해지도록 습기를 충분히 제공해 주고 테라마이신 연고를 코안에 발라줍니다. 비염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점막 상태가 나빠지므로 비염도 같이 치료해야 합니다. 그러나 코피가 너무 자주 날 경우에는 혈소판이 모자라거나 혈액응고 장애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혈액 검사를 시행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건조한 환경이 코혈관을 자극하여 혈관이 손상되어 코피가 날수 있습니다. 혈압이 높아지면 약해진 혈관벽이 다시 손상받아 출혈이 생길수 있으니 혈압이 높아지지않게 주의하시고 반복적으로 출혈이 지속될 경우 이비인후과에서 확인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습니다. 구역,구토,손저림,어지러움 등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다면 신경과 진료를 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출혈은 코피를 의미합니다.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혈액, 심장, 신장, 간 질환, 외상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비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아의 경우 출혈이 소량으로 반복되는 전방 출혈이 흔하게 나타납니다. 고혈압이나 동맥경화가 동반된 고령의 경우, 일회성으로 심하게 나타나는 후방 출혈이 흔합니다.

    원인

    비출혈의 원인은 국소적 원인과 전신적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① 국소적 원인
    가장 흔한 비출혈의 원인은 기계적 외상, 즉 코를 후비는 버릇입니다. 이외에도 비중격 및 비강 질환으로 공기의 흐름이 와류를 형성하여 비출혈을 야기하기도 하고, 염증, 종양, 동맥류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 인자로 건조하고 추울수록(5℃ 이하) 코피 발생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② 전신적 원인
    폰빌레브란트병(von Willebrand)과 같은 선천적 응고 장애로 인해 비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혈액 투석,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동맥경화증,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 확장증(Hereditary hemorrhagic telangiectasia), 고혈압, 와파린 사용 등이 비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어린이나 젊은 층에게는 특별한 원인 없이 저절로 비출혈이 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방 출혈이 많아 비교적 지혈하기 쉽습니다. 나이가 많은 층에서 비출혈이 발생할 경우, 비강 후반부에서 피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혈이 극히 어려우며, 잘 재발하고, 생명을 위협하기도 합니다.

    진단

    비 내시경을 이용하여 출혈 부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맥성 출혈이 의심되거나, 비 내시경을 통해 출혈 부위를 확인할 수 없으면 혈관 조영술을 이용하여 출혈 부위를 확인합니다.

    치료

    비출혈의 처치 및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안정해야 합니다. 피를 삼키지 말고, 삼킨 피는 뱉어내야 합니다.

    ② 코 앞쪽에서 출혈이 발생한 경우, 이 부위에 수축제를 적신 솜을 대고, 코끝을 손으로 잡고 5~10분가량 압박합니다.
    ③ 얼음 찜질이나 찬물 찜질도 좋습니다.
    ④ 위 방법으로 지혈되지 않는 경우, 출혈 부위가 확인되면 비 내시경을 이용하여 출혈 부위와 공급 혈관을 화학적으로 부식시키거나 전기 소작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⑤ 위 방법으로 지혈이 되지 않는 경우, 코에 팩킹을 합니다. 정비공 팩킹, 후비공 팩킹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팩킹은 2~4일간 두며,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복용합니다.
    ⑥ 출혈이 심하면 입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혈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필요시 동맥 결찰술, 동맥 색전술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⑦ 비중격 만곡으로 비출혈이 반복될 경우 비중격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의학정보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안의 혈관형성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해서 취약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건조한 환경에 노출되어 점막이 손상받으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까운 이비인후과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자녀가 코피가 갑자기 나서 많이 걱정되실 듯 합니다. 코피가 한 번 나는 것은 걱정하실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코피가 잘 멈췄다면 그냥 지켜보셔도 됩니다. 만약 코피가 잘 멈추지 않거나, 자주 나는 경우라면 이비인후과에서 코 점막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피로 문의를 주셨습니다.
    코안이 건조하거나 코속의 혈관이 돌출된 경우 조금만 자극이 가해져도 코피가 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외에도 드물지만 출혈이 잘 멈추지 않는 질환이 있거나 하여도 코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일단 코피가 나면 고개를 앞으로 숙이시고 찬 수건으로 누르시며 지혈해야 합니다.
    코피가 한번 나시고 5-10분이상 지혈이 안되시면 근처 응급실이라도 내원하셔야 됩니다.
    평소 코피가 멈춘 뒤에는 코를 손으로 파거나 코를 세게 푸는 등 얼굴에 힘을 가하는 행동도 자제하셔야 합니다.
    이후에 이비인후과 내원하셔서 코안의 건강상태를 확인하여 보시고, 상담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피가 잘 나는 원인은?

    코 속은 습도 50% 정도가 촉촉하게 유지됩니다.

    이 정도가 유지되지 못하면 코 점막에 딱지가 생기기 쉽습니다.

    이는 가벼운 자극에도 점막에 상처가 잘 나고 혈관이 노출되면서 혈관이 터지기 쉬워 코피가 나게 됩니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어른에 비해 코피가 더 많이 납니다.

    이 경우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수분량이 적어서 더 쉽게 건조해질 수 있고, 보통 비강건조증을 앓을 때 코에 불편함이 느껴지면 참지 못하고 코를 세게 파거나 비비는 경우가 많아서입니다.

    어린 아이들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콧속에 물렁뼈가 휘어져 있는 비중격만곡증이 있거나 염증 또는 물혹이 있는 경우 코피에 쉽게 노출됩니다.

    비정상적인 성장으로 좌우 비중격 연골이 휘어져 있어 공기가 콧속으로 원활히 들어오지 못하는 비중격만곡증은 점막 손상이 계속 이어지다 혈관이 터지면서 코피가 수시로 나게 됩니다.

    코 안쪽의 비갑개가 선천적으로 기형일 경우 콧속으로 공기의 흐름을 변화시켜 집중적으로 세균에 노출되는데, 이게 쉽게 건조해져서 가벼운 외상에도 혈관이 잘 터져 어린 아이에게서 코피가 잘 나게 됩니다.

    코피를 멈추는 방법은...?

    평소 아이의 콧속을 촉촉하게 하고 실내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코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어린 아이에게서 코피가 난 경우 부모님이 응급처치를 신속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조한 공간에서는 가습기를 이용해 실내 습도를 50%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특히 건조한 날씨인 경우에는

    바셀린을 코 안쪽으로 살짝 발라주면 좋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강 내의 점막아래 혈관들이 분포해 있는데 점막이 손상을 받거나 출혈이 쉽게 발생하는 다른 기저 질환이 있을 때 비출혈이 생깁니다.특히 여려 원인에 의해서 비점막의 점액이 마르고 딱지가 생기면서 2차적으로 생기는 감염과 염증조직들에 의해서 이러한 출혈이 발생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