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디지털 통관 시대, AI·페이퍼리스 통관 준비 어떻게 하나요
APEC·관세청이 AI 기반 디지털 통관과 페이퍼리스 무역을 강조하고 있는데, 무역 실무 담당자로서 어떤 시스템절차 준비가 필요할 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ai 기반 디지털 통관과 페이퍼리스 무역이 확대되면 기업 입장에서는 전자적 원산지증명, 수출입신고 자동화, 전자서류 보관 체계 마련 등이 필요해집니다. 시스템 연동이 핵심이므로 내부 erp와 연계된 수출입 관리시스템을 미리 점검하고, 담당자는 hs 코드, 전자신고 구조, 디지털 인증방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요즘 무역 흐름 보면 종이 줄이고, 자동화 늘리고, AI까지 얹는 방향으로 전환이 확실히 빠릅니다. 그냥 트렌드가 아니라, 실제로 각국 세관들이 시스템 정비에 나선 걸 보면 현장에도 조만간 본격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무역 현장에서 준비할 부분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내부 시스템 정비. 수출입 데이터를 디지털 형식으로 정리하고, 통관 정보도 전산으로 즉시 추출 가능한 구조로 바꾸는 게 필요합니다. 또 하나는 외부 연계. 관세청의 유니패스나 APEC 전자 원산지 증명 플랫폼 같은 시스템에 익숙해지는 겁니다. 자동화된 통관 처리가 되려면 구조상 EDI 기반 데이터 흐름이 매끄러워야 하는데, 중간에 종이 문서나 수기 정리된 자료가 끼어 있으면 속도 자체가 안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디지털 통관이나 P/L무역은 앞으로도 점점 발전하게 될 것이며, 대표적으로 AI 기반 데이터 정확성 위험관리 강화 작업 등이 진행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내부 프로세스나 인력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고, 기술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페이퍼리스 무역 환경에서는 내부 및 외부 협력 파트너와의 시스템 연계가 중요합니다. 관세청의 UNI-PASS 시스템, AEO 인증체계, FTA 원산지 시스템과의 API 연동 체계를 갖추고, 선사, 항공사, 창고업체, 운송사 등과도 공통 데이터 포맷을 공유할 수 있도록 내부 플랫폼을 통합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 담당자 개인의 노하우에 의존해 수출입 신고를 횄던 환경에서 시스템 기반의 표준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보 공유 체계도 정비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