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산의 가치는 왜 무조건 공정가치로 평가하나요?
유형자산이나 투자부동산의 경우에는 원가와 공정가치 모형 중에서 평가방식을 고를 수 있는데 생물자산은 왜 무조건 공정가치로 평가하게 정해져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생물자산의 가치는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소멸되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가치 변화가 있습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공정가치 평가가 필요합니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을 기반으로 공정가치를 따지며 국제회계기준에도 생물자산의 평가 방법으로 공정가치를 요구하기 때문에 재무 상태를 정확하고 투명하게 하기 위해 이렇게 평가하는 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생물자산의 가치를 무조건 공정가치로 평가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이유는 생물자산의 고유한 특성 때문입니다. 생물자산은 성장, 퇴화, 생산, 생식과 같은 생물학적 과정을 거치면서 그 물리적 형태와 가치가 지속적으로 변동합니다. 이러한 가치 변동은 기업의 경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보고 시점의 실제 가치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가 모형은 이러한 변동을 적시에 반영하지 못합니다. 많은 경우 생물자산에 대한 활발한 시장이 존재하거나, 유사한 자산의 시장 가격을 통해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농작물, 가축, 어류 등은 표준화된 규격과 거래 시장이 존재하여 객관적인 가격 정보를 얻기 용이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생물자산은 매일매일 시가로 변경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공정가치 평가법 밖에는 없습니다. 원가법이나 다른 평가법은 시장가치와 큰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생물자산의 가치는 왜 무조건 공정가치로 평가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생물자산의 경우 생물자산이 갖고 있는 특징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렇기에 실제 경제적 상황을 정확하기 반영하기 위해서 공정가치로 평가한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