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3.29

조선시대 왕 중에서 혹시나 자살을 한 왕도 있을까요?

조선시대 왕 중 혹시 스스로 생을 마감한 왕이 있나요?

있다면, 어떠한 이유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스스로 생을 마감한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30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의 12대 왕 인종이 병약해서 31세,

    즉위한지 9개월만에 사망했다는 기록은 있으나

    자살한 왕에 대한 기록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스스로 생을 마감한 왕은 없습니다. 대부분의 왕들은 자연사 혹은 타살로 사망했습니다.

    그러나 조선 시대의 7대 왕 세종은 스스로 죽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는 없으나, 세종이 죽은 때 궁중에서 비롯된 극심한 갈등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임금 후계자를 놓고의 토론, 그리고 이에 따른 궁중 인사들의 술집에서의 잔치가 진행될 정도로 궁중 내부의 분열이 심각했다는 사실 등이 이와 관련될 수 있다는 추측이 있습니다.

    하지만 세종왕의 스스로 죽은 것이 확실하게 입증된 사실은 아니므로, 그에 대한 정확한 사실 여부는 여전히 논란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유일하게 자살한 왕은 인종이라고 합니다. 누군가는 인종의 효심이 워낙 지극해서, 문정왕후의 눈치를 보느라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라 하는데,


    인종은 세자 초기 시절부터 저주 사건과 같은 자신을 둘러싼 죽음의 위협과 같은 불길한 일이 연속이었고,


    세자 시절에는 적어도 아버지가 있었으나, 왕이 된 이후로 이를 스스로 감당해야 하는 부담감,


    특히나 아버지의 병상에서 떠나질 않을 정도였던 지라 죽음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크게 받았을 것이고,


    역사학자도 아니기에 조심스럽지만 우울감과 불안감으로 인한 식욕부진이나 식사 거부가 이어지다


    결국 이것이 간접적인 자살로 간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되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스스로 자살한 왕은 없었습니다. 왕위에서 쫒겨난 왕(연산군, 광해군, 단종)은

    있었지만 스스로 목숨을 끊은 왕이 없었고 살해되지도 않았습니다. 정조를 살해하기 위해 자객을 보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외에는

    유교사상이 근본이 되었던 조선에서 왕의 자살은 용납 할 수 없는 일이 었지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왕 중에는 자살한 왕이 있었습니다. 그 왕은 정조입니다. 정조는 왕위를 계승한 이후에 많은 정치개혁과 사회개혁을 시행하여 조선시대의 발전에 큰 공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그의 개혁정책이 일부 세력들과 충돌하면서 반대세력들이 그를 탄압하고, 마침내 그의 아들인 인조를 대신하여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이후, 정조는 살던 곳인 창덕궁 내부에서 자신의 양반복에서 끊임없던 탄압과 굴욕에 지쳐, 1800년 8월 18일에 자살하게 됩니다. 이러한 사실은 그의 뒤를 이은 인조에 의해 밝혀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서시대의 왕 중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은 아니지만 그식을 통해 음식을 머리하고 스스로의 건강을 해치면서 자살과 비슷한 이유로 보는 이가 바로 인종 입니다. 인종 (仁宗, 1515년 3월 10일 (음력 2월 25일) ~ 1545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 의 제12대 국왕 이며 성 은 이 (李), 휘 는 호 (峼), 아명은 억명 (億命)입니다. 그는 30세에 왕위에 올라 겨우 8개월 정도의 왕위에 있었는데여. 아버지 중종을 잃은 슬픔으로 금식을 하다가 결국 원인 모를 병을 얻어 죽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