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을달아서 공부를 시키는 건 아이에게 좋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상이라는 것은 아이의 부정적인 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효과적입니다.
다만 공부를 2시간 하고나면 2천원을 주는 등의 조건은
오히려 이러한 조건을 더욱더 강화하는 역효가가 날 수 있습니다.
공부하는 시간을 마일리지로 환산해서
특정 마일리지를 적립했을 때 아이가 원하는 선물 등을 사주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건보다는 보상을주는것이좋으며
현재글은 보상의 개념으로보는게좋을수있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언가를 달성하고 보상을 주는것은나쁘지 않으나 그 보상에 대해서는 객관성이 있어야 됩니다
2시간에 2천원이면 아이는 공부를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하다기보다는 2시간을 공부하는척만해도 2천원이 생길수있는 부작용이 생길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건을 달고 하기보다는 그냥 하는게 좋겠지만 어느정도 기본적인것을 시키기에는 나쁘지 않은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공부를 하지 않는다고 해서 조건을 달면서 공부를 하게 하면 아이는 조건 자체를 보고 공부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의 공부가 되지 않을 수 있답니다.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조건을 달아서 공부를 한다는 것은 하지 않는 것 보다는 괜찮은 방법인 것 같아요
또한 공부를 꾸준히 하다 보면 생활 습관이 굳어지기 때문에 좋은 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정의 상황에 따라 다를수 있지만 역으로 생각해보면 조건이 약하거나 소멸될때 아이는 공부할 필요를 못느낄수도 있어요.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의 힘은 자립심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을만한 작은 과제부터 줘보시고 스스로 책임감있게 해결해 나갈때 칭찬과 작은 보상을 해주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도 스스로 공부하는 능력이 약하면
조건을 달아서 공부를 시키는 것도
방법 중에 하나에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도 공부를 할 때에
동기부여가 필요하고
너무 나쁘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학습은 자기주도적으로 해야 합니다.
조건부 학습은 당연히 좋지 않지요.
내가 공부를 하면 용돈을 준다는 부모님 말씀 때문에 돈을 받을 목적으로 공부를 한다면 진정으로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나의 미래를 위해서가 아닌 돈을 받기 위한 수단 밖에 되질 않습니다.
아이에게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시고, 조건부식의 타협은 옳지 않다 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세요.